earticle

논문검색

정책

고령층 디지털 정보 역량과 디지털 정보 활용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f the Determinants of Digital Capacity and Digital Utilization among Older People

김유나, 변은지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determinants of both digital capacity and digital utilization among older people by using the seemingly unrelated regression. Using ‘2019 Survey of Digital divide’, the study has the following results: first, perceived usefulness, self-efficacy and confidence have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digital capacity; second, not only self-efficacy and confidence but also digital support has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digital utilization. By examining the common factors and differential factors which explain digital capacity and digital utilization, it contributes to broadening and deepening knowledge on digital divide and building effective strategies for overcoming digital divide among older people in Korea.

한국어

본 연구는 고령층의 디지털 정보역량과 정보활용의 상호 관련성에 주목하면서 하나의 모형 속에서 이들의 영향 요인을 동시적으로 분석하며 관계의 양상들을 종합적으로 파악하는데 초점을 둔다. 분석자료는「2019 디지털정보격차 실태조사」를 사용하였고, 분석대상은 만55에 이상 고령층 1,703명 이었다. 분석방법은 SUR(seemingly unrelated regression)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인지된 유용성, 자기효능감, 자신감과 같은 심리적 변수가 정보역 량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기효능감과 자신감과 같은 심리적 요인과 함께 디지털 조력과 같은 사회적 요인이 정보활용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정보역량과 정보활용 간 영향요인에서 차 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고령층의 정보역량과 정보활용 영향요인을 보다 세밀하게 분석함으로써 고 령층 정보격차 해소 관련 이해의 확장에 기여하고, 이를 토대로 고령층 정보격차 해소 전략 방향을 제시하였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이론적 배경
2.1 고령자 디지털 정보역량 및 정보활용
2.2 디지털 정보역량 및 디지털 정보활용 영향요인
3. 연구방법
3.1 연구모형
3.2 분석대상
3.3 변수의 구성 및 측정방법
3.4 분석방법
4. 연구 결과
4.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4.2 주요 변수의 특성
4.3 정보역량과 정보활용의 영향요인에 대한 모형분석 결과
5.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김유나 Kim, Yuna. 유한대학교 보건복지학과 교수
  • 변은지 Byun, Angie. 서울노인복지센터 부설 서울시어르신취업지원센터 국장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