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정책

문화적 특성을 고려한 공공도서관 도서 대출수요 분석 : 대구광역시 시립도서관을 사례로

원문정보

Analysis of Borrows Demand for Books in Public Libraries Considering Cultural Characteristics

오민기, 김경래, 정원웅, 김건욱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Public libraries are a space where residents learn a wide range of knowledge and ideologies, and as they are directly connected to life, various related studies have been conducted. In most previous studies, variables such as population, traffic accessibility, and environment were found to be highly relevant to library use. In this study, it can be said that the difference from previous studies is that the book borrow demand and relevance were analyzed by reflecting the variables of cultural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book borrow history (1,820,407 cases) and member information (297,222 person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analyzed that as the increase in borrows for social science and literature books compared to technical science books, the demand for book borrows increased. In addition, variou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zes were us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library book borrow demand, and policy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also presented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and considering that cultural characteristics change depending on the location and time of day, it is believed that related research should be continued in the future.

한국어

공공도서관은 거주민들의 광범위한 지식과 이념을 학습하는 공간이며, 삶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만큼 관련된 연구들이 다양하게 수행되어 왔다. 대부분의 선행연구에서 인구, 교통, 접근성, 환경 등의 변수가 도서관 이용에 관련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도서대출 이력(1,820,407건)과 회원정보(297,222명) 자료를 기반으로 문화적 특성의 변수를 반영하여 도서 대출수요와 관련성을 분석한 점이 선행연구와의 차별성이라 할 수 있다. 분석결과 기술과학 도서 대비 사회과학, 문학 도서 대출이 증가할수록 도서 대출수요가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도서관 충성고객들이 도서 대출수요의 주요한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그 외 다양한 기술통계분석을 활용하여 도서관 도서대출 수요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정책적 시사점과 연구의 한계도 제시하였다. 그리고 문화적 특성이 장소, 시점 등에 따라 변화됨을 감안하면 앞으로 관련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선행연구 고찰
3. 공공도서관 도서 대출수요 분석
3.1 자료 수집
3.2 데이터 전처리 및 활용변수
3.3 도서관 도서 대출수요 특성 분석
4. 공공도서관 도서 대출수요 모형
4.1 다중회귀 모형 추정
4.2 다중회귀 모형 분석결과
5. 결론
5.1 분석결과 요약
5.2 연구결과의 정책적 시사점 및 연구의 한계
REFERENCES

저자정보

  • 오민기 Min-Ki Oh. 경북대학교 문헌정보학과 학부과정
  • 김경래 Kyung-Rae Kim. 경북대학교 컴퓨터학부 학부과정
  • 정원웅 Won-Oong Jeong. 경북대학교 컴퓨터학부 학부과정
  • 김건욱 Keun-Wook Kim. 대구디지털산업진흥원 빅데이터활용센터 센터장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