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특집논문] 교양교육과 핵심역량의 재인식

역량개념 지도 그리기

원문정보

Drawing a Conceptual Map of Competency, Attribute, and Capabilities

박정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Currently, in Korean universities, three terms from different contexts and backgrounds, namely competency, attribute, and capabilities, are translated and used as the same word.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reduce the ambiguity and confusion of discussions by drawing a conceptual map of these terms. First, ‘competency’ is a concept of vocational education characterized by being able to perform tasks successfully and objectively measurable. In the 21st century, OECD carried out the DeSeCo project, which aims to define the abilities necessary to lead a successful life as “key competences”, and expanded the discussion of competence to school education, not limited to the profession. However, criticism is also high on the approach of applying the concept of vocational education to school education, especially university education. Next, ‘attribute’ is used in relation to university education in many countries, and Australia is a representative example. Australia defines the qualities that must be acquired through university education, regardless of major, as “generic attributes,” and stated that universities have the responsibility to educate all graduates to have them. In Australia, the concept is used in a broader sense that includes a number of qualities that cannot be reduced to the context of vocational education. And because they take a attribute building approach at the curriculum level, they do not impose an obligation to reflect these attributes in every individual subject. Finally, ‘capabilities’ is a concept used to refer to the possibilities and abilities to lead a human life. This concept relates to the argument that the Human Development Index (HDI) should be used as a criterion for social development instead of GDP driven by economic growth. This approach focuses on the quality and meaning of life, emphasizing the freedom to choose one’s own preferences, and places importance on the elements necessary to maintain basic human dignity and social justice. Furthermore, this approach does not focus solely on the individual’s inner abilities, but issues together the social conditions under which those abilities can be practically realized. Regarding liberal arts education, it is an appropriate practical alternative to use it in the second sense as in Australia in order to use it as an auxiliary means to clarify the goals of liberal arts education. In that case, we will be able to put the original goal of liberal arts education in the term.

한국어

상이한 맥락과 배경에서 나온 서로 다른 용어의 번역어로 ‘역량’이란 말이 공통 적으로 쓰고 있는 현실을 감안하여, ‘역량’이란 번역어의 개념 지도를 그려봄으로 써 역량 관련 담론에서 벌어지는 애매성과 혼란을 줄여보려는 것이 이 글의 목적 이다. 먼저 ‘competency’의 번역어로 쓰이는 ‘역량’은 원래 과제에 대한 성공적 수행 과 객관적 측정 가능성을 특징으로 하며 ‘직무능력’으로도 번역되는 직업교육의 개 념이다. 그런데 21세기 들어 OECD는 성공적 삶을 영위하기 위해 필요한 능력을 핵심역량(key competences)으로 규정하려는 DeSeCo 프로젝트를 수행하면서, 역량에 대한 논의를 직업 영역에 국한시키지 않고 학교교육으로 확대시켰다. 하지 만 직업교육의 개념을 학교교육, 특히 대학 교양교육에 적용하는 접근에 대해서는 비판의 목소리도 크다. 다음으로 ‘역량’으로 번역하고 있는 다른 용어는 ‘attribute’로서 많은 나라에서 대학교육과 관련하여 쓰고 있는데 대표적 사례가 호주이다. 호주는 전공에 관계없이 대학교육을 통하여 습득해야 할 역량을 ‘일반적 자질(generic attributes)’로 규정하고 졸업생이면 누구나 이를 갖추도록 교육할 책무를 대학이 갖고 있음을 명 시했다. 호주에서 이 개념은 직업교육의 맥락으로 환원될 수 없는 자질이 다수 포 함된 넓은 의미로 사용되며, 교육과정 차원에서 역량을 배양하는 접근법을 택하고 있기 때문에 모든 교과목에 이 역량을 반드시 다 반영해야 할 의무를 부과하지는 않는다. 마지막으로 ‘역량’으로 번역하는 또 다른 용어는 인간다운 삶을 영위하기 위한 가능성과 능력을 지칭하기 위해 사용되는 ‘capabilities’라는 개념이다. 이 개념은 경제 성장 중심의 GDP 대신에 인간개발(Human Development) 패러다임에 기 초한 HDI(Human Development Index)를 사회 발전의 기준으로 사용하자는 주 장과 관련된다. 이 접근법은 역량을 자신이 선호하는 것을 선택할 수 있는 자유로 이해하면서, 삶의 질, 삶의 의미에 주목하며, 인간의 기본 품위와 사회 정의가 유 지되기 위해 필요한 요소들을 중요시한다. 나아가 개인의 내적 속성에만 주목하지 않고 그 속성이 실질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사회 조건을 함께 문제 삼는다. 교양교육과 관련해서 역량이란 개념을 쓸 수밖에 없는 것이 현실이라면 호주와 같이 두 번째 의미로 넓게 규정하여 교양교육의 목표를 구체화시키는 보조수단으 로 활용하는 것이 적절한 현실적 대안이다. 그럴 경우 교양교육 본연의 목표도 역 량이란 말 속에 담을 수 있기 때문이다.

목차

국문초록
Ⅰ. 들어가는 말
Ⅱ. ‘competency’로서의 역량
Ⅲ. ‘attribute’로서의 역량
Ⅳ. ‘capabilities’로서의 역량
Ⅴ. 맺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박정하 Park, Jungha. 성균관대학교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