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미술’과 ‘언어’ 활동 융합형의 아동 발달지원 교육 프레임워크 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 : 텍스트 마이닝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An exploratory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a education framework for supporting children's development in the convergence of “art activity” and “language activity” : Focused on Text mining method

박윤미, 김시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ims not only to access the visual thought-oriented approach that has been implemented in established art therapy and education but also to integrate language education and therapeutic approach to support the development of school-age children. Thus, text mining technique was applied to search for areas where different areas of language and art can be integrated. This research was conducted in accordance with the procedure of basic research, preliminary DB construction, text screening, DB pre-processing and confirmation, stop-words removing, text mining analysis and the deduction about the convergent areas.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is study draws convergence areas related to regional, communication, and learning functions, areas related to problem solving and sensory organs, areas related to art and intelligence, areas related to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areas related to home and disability, topics, conceptualization, peer-related areas, integration, reorganization, attitudes. In conclus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stablished a framework for designing an activity-centered convergence program of art and language in the future and attempted a holistic approach to support child development.

한국어

이 연구는 학령기 아동의 발달지원을 위하여 기존의 미술 치료 및 교육에서 시행되어 온 시각적 사고 중심의 접근에 더하여, 언어 교육 및 치료적 접근을 융합하고자 한 것이다. 이에 언어와 미술의 서로 다른 영역의 융합 가능 영역을 탐색하기 위하여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적용하였다. 이에 따라 이 연구는 기초 연구, 예비 DB구축, 텍스트 선별, DB 전 처리 및 확정, 불용어 처리, 텍스트 마이닝 분석 및 융합 가능 역 도출’의 절차에 따라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미술 치료 및 교육과 언어 치료 및 교육 분야에서 나타나는 문헌상의 각 군집을 연계하여 의사소통 및 학습 기능, 문제해결 및 감각 기관, 예술 및 지능, 정보와 의사소통, 가정 및 장애, 주제와 개념화 및 또래, 통합과 재구성 및 태도 등과 관련된 융합역을 도출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하여 향후 미술과 언어의 활동 중심 융합형 프로그램 을 설계할 수 있는 프레임워크를 마련하고 아동발달 지원을 위한 총체적 접근을 시도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선행연구
3. 연구 방법 및 절차
4. 연구 결과
4.1 빈도분석 및 워드 클라우드 도출
4.2 군집 분석, 중심성 분석
4.3 사회 네트워크 분석
5. 결론: 요약 및 후속연구
REFERENCE

저자정보

  • 박윤미 Yunmi Park. 차 의과학대학교 미술치료학과 조교수
  • 김시정 Sijeong Kim. 차 의과학대학교 행복교육원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