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건강한 20대 성인여성의 브래지어 착용 여부에 따른 흉곽 가동성과 가로막 움직임 및 폐활량에 대한 비교

원문정보

Comparison of Chest Mobility, Diaphragm Movement, and Lung Capacity Between With and Without Bras in a Healthy 20s Adult Women

정아름, 이지현, 정성대

초록

영어

This study aims to compare chest mobility, diaphragm contraction, and lung capacity when wearing a bra and per breast size. The subjects of this study included 10 adult women who were attending Chungnam B University: 5 women who wear underwear size 75A (group A) and 5 who wear underwear size 85B (group B). The chest mobility using a tape measure, the diaphragm contraction using ultrasound, and the lung capacity was measured using a Pony FX before and after bra wear. The chest mobility and diaphragm contraction were significantly reduced when bras were worn in group A and B. Lung capacity was significantly decreased only in group A.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This study suggests that women’s bras can have a negative effect on diaphragm movement, chest mobility, and lung capacity.

한국어

본 연구는 여성의 브래지어 착용 여부와 가슴 크기에 따른 흉곽 가동성과 가로막의 움직임 및 폐활량을 비교해보 고자 하였다. 충남 B 대학에 재학 중인 10명을 대상으로 실험하였으며 속옷의 사이즈가 75A인 5명을 A그룹, 85B인 5명을 B그룹으로 나누어 실험을 진행하였다. 브래지어 착용 전후 원형 줄자를 이용하여 흉곽 가동성을, 초음파를 이용 하여 가로막의 움직임을 측정하였으며 폐활량 측정을 위하여 Pony FX를 이용하였다. 브래지어 착용 여부를 비교한 결과, A그룹과 B그룹 모두에서 브래지어를 착용하였을 때 흉곽 가동성과 가로막 움직임이 유의하게 감소하였지만. 폐활 량은 A 그룹에서만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A그룹과 B그룹을 비교한 결과, 모든 종속변수에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그 러므로 본 연구는 가슴 크기에 상관없이 브래지어 착용 자체만으로도 흉곽 가동성과 가로막의 움직임에 부정적 영향을 끼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연구방법
2.1 연구대상자
2.2 측정 도구 및 측정 방법
3. 결과
3.1 흉곽 가동성
3.2 가로막 움직임
3.3 폐활량 비교
4. 고찰
5.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정아름 Ah-Reum Jeong. 미추홀 병원 물리치료사
  • 이지현 Ji-Hyun Lee2. 백석대학교 물리치료학과 교수
  • 정성대 Sung-Dae Choung. 백석대학교 물리치료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