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교수자 지지가 대학생의 학업적 지연행동에 미치는 융합적 영향 : 학업적 실패내성의 매개효과

원문정보

Converged Influence of Professor Support on Academic Procrastination : Focused on the Mediation Effect of Academic Failure Tolerance

송성숙, 함현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diated effect of academic failure tolerance in the influence of professor support on academic procrastination of university students. A Google survey was conducted on 211 students at D University in Gyeonggi-do, and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were conducted using the SPSS program with collected data. The mediated effect of academic failure tolerance has been verified through three stages of regression analysis (Baron and Kenny) and Sobel Tes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professor support has a negative correlation with academic procrastination, an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academic failure tolerance. In addition,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academic failure tolerance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Second, it showed that academic failure tolerance has a full mediated effect in the influence of professor support on academic procrastination. This implies that it is necessary to create an educational environment that can raise the level of professor support and academic failure tolerance of university students in the academic situation. Therefore, this study suggested the need of providing a program of professor support that can improve academic procrastination problems and strengthen the academic failure tolerance of students.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교수자 지지가 대학생의 학업적 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학업적 실패내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경기도 D대학교 학생 211명을 대상으로 Google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프로 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상관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학업적 실패내성의 매개효과는 Baron과 Kenny의 3단계 회귀분석과 Sobel Test를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교수자 지지는 학업적 지연행동과 부적상관이 있었 고, 학업적 실패내성과 정적상관이 있었다. 또한 학업적 실패내성과 학업적 지연행동 간에는 부적상관이 나타났다. 둘 째, 교수자 지지가 학업적 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학업적 실패내성은 완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대학생의 학업적 상황에서 교수자의 지지와 학업적 실패내성의 수준을 높여줄 수 있는 교육환경 조성이 필요함을 시사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학업적 지연행동을 낮추고 학업적 실패내성을 강화할 수 있는 교수자의 지지프로 그램 제공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이론적 배경
2.1 교수자 지지
2.2 학업적 지연행동
2.3 학업적 실패내성
3. 연구방법
3.1 연구설계 및 모형
3.2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3.3 연구도구
3.4 자료분석
4. 연구결과
4.1 교수자 지지, 학업적 지연행동과 학업적 실패내성의 수준
4.2 교수자 지지, 학업적 지연행동과 학업적 실패내성의 관계
4.3 교수자 지지가 학업적 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학업적 실패내성의 매개효과
5.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Appendix

저자정보

  • 송성숙 Seong-Suk Song. 대진대학교 미래평생학습부 조교수
  • 함현진 Hyun-Jin Ham. 대진대학교 미래평생학습부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