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주간근무 및 교대근무 여성근로자의 여성건강 비교연구

원문정보

A Comparative Study on Women's Health of Female Workers on Daywork and Shiftwork

이진숙, 홍경주, 권려원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imed to compare general and female health-related factor between day-work and shift-work worker. It is based on the data of the Korea National Health&Nutrition Examination Survey(KNHANES) 2nd year on 7th period. The number of participants was 10,430. Out of the participants, 1,995 workers’ dara was analyzed. The age, marital status, education level, occupational status and childbirth experience of female workers indicat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day and shift work. By contrast,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did not represent significant differences these factors; income, subjective health cognition, stress perception, depression experience, menarcheal age, menopausal age and breastfeeding period. The shift work is inevitably implemented as an industrial development and flexible work hours. Therefore, social and national attention and measures as well as those of individual workers are required to reduce the side effects from shiftwork.

한국어

본 연구는 주간근무 및 교대근무 여성 근로자의 일반적 요인 및 여성건강관련 요인들의 차이를 비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에서 실시한 제7기 2차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기초로 하였으 며 설문 조사에 참여한 조사자는 모두 10,430명이었다. 그 중 1,995명 근로자의 건강관련 변수와 건강관련 삶의 질 차이를 분석하였다. 여성 근로자의 연령, 결혼여부, 교육수준, 종사상지위, 출산경험은 주간근무 근로자와 교대 근무 근로자 간의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반면 소득이나 주관적 건강인식, 스트레스 인지, 우울경험, 초경연령, 폐경연령, 수유기간과 건강관련 삶의 질은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못하였다. 교대근무는 산업의 발전과 탄력 근로 제를 위하여 불가피하게 시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교대근무로 인한 부작용을 줄이기 위해서는 근로자 개인 뿐만 아니라 사회적, 국가적인 관심과 대책이 요구된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연구방법
2.1 연구설계
2.2 연구 대상 및 자료수집
2.3 변수의 정의 및 측정
2.4 자료분석방법
3. 연구결과
3.1 여성 근로자의 일반적 특성
3.2 여성 근로자의 여성건강 관련 특성
4. 논의
5.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저자정보

  • 이진숙 Jin-Sook Lee. 경운대학교 간호학과 교수
  • 홍경주 Gyeong-Ju Hong. 경운대학교 간호학과 학생
  • 권려원 Ryeo-Won Kwon. 경운대학교 간호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