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17세기 네덜란드 장르화의 ‘내밀성(Intimité)’ 표현에 관한 연구 - 요하네스 베르메르의 장르화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Study of the Expression of “Intimité” in Seventeenth-Century Dutch Genre Paintings : With a Focus on Johannes Vermeer’s Genre Paintings

고연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Dutch genre painting studies, one of the essential processes is distinguishing the characteristics of Dutch genre paintings, starting with an accurate art historical definition. Studies of seventeenth-century Dutch genre paintings by Korean scholars concern such issues as the relationship of the commercial development of the Netherlands in the seventeenth century and the concomitant rise in demand for art with the development of genre painting. With regard to the art historical definition of genre painting, this paper will clarify the descriptions of contemporary art historical trends and the definition of genre paintings by later scholars through the socio-cultural context of the emergence and success of genre painting in the Netherlands. For example, after selecting the genre paintings of Johannes Vermeer as a research subject, this paper will describe how Vermeer perceived the social and cultural milieu and study how such backgrounds were melded into his paintings. Studies of Vermeer published in Korea mainly focus on the characteristics of Dutch genre paintings in the seventeenth-century or on the spatial structure of his paintings, and a number of studies looked at the influence of the social background of seventeenth-century Netherlands on such things as Vermeer’s artistic life or his expression of the characters portrayed in his paintings. Studies on Vermeer published overseas are focused on his pictorial structure, on which interpretations by various scholars can be found, including art historian Heinrich Wölfflin’s observation on the structural features that imply the “profound/emphasizing depth” of Dutch genre paintings, Daniel Arasse’s discussion on Vermeer’s “intimité,” and Maurice Merleau Ponty’s analysis of the “Vermeer structure.” Of these, this paper discusses Vermeer’s paintings as genre paintings based on Wölfflin’s “profound/emphasizing depth” and Arasse’s “intimité,” and aims to understand the structure of Vermeer’s paintings by analyzing in detail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ackground and characters, the two main components of his paintings. Furthermore, this paper aims to develop an example of a social contextual methodology as a method for Dutch genre painting analysis by exploring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Vermeer’s structural characteristics and the socio-cultural background.

한국어

네덜란드 장르화를 연구함에 있어 정확한 미술사적 정의를 시작으로 네덜란드 장르화의 특징을 구분해내는 것은 필수적인 과정 중 하나다. 국내에서 선행된 17세기 네덜란드 장르화에 대한 연구로는 17세기의네덜란드의 상업 발달과 미술 수요 계층의 상승을 네덜란드 장르화의 발달 요인과 연관한 연구 등이있다. 본 연구에서는 장르화의 미술사적 정의에 대해 당대의 서술과 후기 학자들의 장르화에 대한 정의를네덜란드 장르화의 탄생과 성행할 수 있었던 사회문화적 맥락을 통해 명확히 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예시로, 요하네스 베르메르의 장르화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화가가 사회문화적 환경을 지각한 과정에관해 서술하고, 그러한 배경이 회화에서 표현된 방식에 관해 연구하고자 한다. J.베르메르에 관해 국내에서 진행된 연구들은, 17세기 네덜란드의 장르화 특성에 관한 연구 또는 회화의 공간구조에 중점을 두고이루어졌다. 특히, 17세기의 네덜란드의 사회적 배경이 J.베르메르의 작가적 삶에 준 영향 또는 회화속 인물 표현에 미친 영향 등 그 인과관계에 관해 서술한 연구들 또한 부분적으로 찾아볼 수 있다. 국외 연구로는 J.베르메르의 회화적 구조에 관해 주목한 연구로, 미술사학자 하인리히 뵐플린이 언급한네덜란드 장르화의 ‘내진성’을 내포한 구조적 특징을 비롯하여 다니엘 아라스의 J.베르메르의 회화가가지는 내밀성, 메를로 퐁티의 ‘베르메르 구조’ 등 다수 학자의 해석을 찾아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중 뵐플린이 언급한 ‘내진성’과 D. 아라스가 연구한 ‘내밀성’에 관한 서술을 토대로 장르화로서의J.베르메르 회화에 관해 서술하고, 회화의 구성요소로써 배경과 인물의 관계를 면밀하게 분석하여 회화의구조적 특징을 파악하고자 한다. 또한, 면밀히 파악된 구조적 특징들이 사회문화적 배경과 어떠한 인과관계가 있었는지 전개하여, 네덜란드 장르화 분석법에 대한 사회 맥락적 방법론의 예시를 제안하고자 한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네덜란드 장르화와 사회의 인과관계에 대한 재고
1. 17세기 북부 네덜란드 장르화의 탈 시대적 정의
2. 17세기 북부 네덜란드 예술 향유 층의 생성과 회화 취향
Ⅲ. 요하네스 베르메르 장르화 내밀성(Intimité)
1. 요하네스 베르메르 회화를 구성하는 요소들
2. 내부의 내부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고연정 Yeon-Jeong Go. 파리 1대학 미술사학과 박사과정. HiCSA(예술문화사회사 연구협회, 프랑스)와 Inalco (국립동양언어문화연구소, 프랑스) 공동 소속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