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 Study for the Use Artistic of Urban Space and the Diversity of Urban Arts : The Cases of the Urban Art Project Focusing on Street Art
초록
영어
The importance of urban spaces has been newly discussed in terms of artistic and cultural values. Many local cities have escaped from the problem of development and reused old buildings for urban regeneration, and art and culture are still the key words. With the expectation that art will act as a positive medium Korean information has been supported culture and arts policy in various urban spaces for more than 30 years. In Korea even though art has been used in various ways in public spaces but its evaluation is still negative. This study asks back on the possibility of art in industrialized urban spaces being able to mediate between humans and spaces through a productive discourse based on a critical diagnosis of contemporary art in urban spaces. In particular it explores the possibility that Korean art can grow while being guaranteed various directions in the government-led Korean culture support policy while analyzing the process in which the street art area utilizes urban spaces in various ways and leads to creative art projects. Through this we will be able to detect the philosophical historical political and cultural derivation that occurs in urban spaces and expand the field of new discourse on urban arts.
한국어
도시 공간은 근대화 과정 이래 그 중요성이 지속해서 제기되며, 최근에는 예술적, 문화적 가치의측면에서 새롭게 논의되고 있다. 몇 년간 지역의 수많은 도시가 ‘개발’의 문제에서 벗어나 도시 ‘재생’ 을 위해 오래된 건축물을 재사용하고, 그 가운데 여전히 ‘예술’과 ‘문화’는 핵심어다. 오늘날까지공적 공간에서 미술이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되었음에도 그 평가에 대해서는 부정적이다. 이 논문은 도시 공간 속 미술에 대해 비판적인 진단을 토대로 현대 미술이 여전히 생산적인 담론을펼치며 인간과 공간을 매개할 수 있는지에 대한 가능성을 되묻는 것이다. 이를 위해 우리는 서구의도시 속 미술의 다양성, 특히 예술 형식과 활동에 주목하면서 창조적인 예술프로젝트로 연결되는과정에 주목한다. 이는 한국 도시예술이 다양한 창작 방향 및 자율성을 보장받으며 성장할 가능성을탐구해 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통해 우리는 공적 공간에서의 예술작품을 통해 철학적, 역사적, 정치적, 문화적 파생력을 감지하고 도시예술에 대한 새로운 담론의 장을 확장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Ⅰ. 서론
Ⅱ. 도시 공간과 미술, 공공 공간에서 요구되는 예술 형식
1. 한국 도시 공간에서 ‘미술’에 대한 진단
2. 스트리트 아트의 도시 개입 및 예술적 의미
3. 한국 스트리트 아트의 도시 공간 개입의 가능성
Ⅲ. 프랑스 도시 예술 형성의 주요 실행 전략
1. 도시 예술 전문 갤러리의 성장
2. 지역의 스트리트 아트 페스티벌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