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South Korea’s Decentralization : Experience and Lessons from President Moon’s Initiatives

원문정보

문재인정부 자치분권추진의 경험과 교훈

Chung, Soon-Gwan, Ryu, Shin-Kue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 central campaign of President Moon, Jae In’s Government was to make strong progress on decentralization. This was in response to the realization that an institutional mechanism of a balanced distribution of authority is a requisite to establish a stable and fair society. The basic approach for authority allocation is to expand the institutional arrangement for a democratically competitive system. Contrast to past governments where authority allocation’s focus was on the institutional arrangement between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President Moon’s Government emphasized an institutional arrangement securing a competitive system between the representative and the residents. The Decentralization Master Plan encapsulated this philosophy and associated strategies. This principle also melted into the contents to expand resident rights within the comprehensive amendment to the Local Autonomy Act. Major achievements of this initiative include (1) the comprehensive amendment to the Local Autonomy Act, (2) the enactment of the Omnibus Regional Transfer Law, (3) adoption of the Local Police System, and (4) implementation of the 1st Stage in Fiscal Decentralization. In pursuing these decentralization activities, the following lessons emerged. First, Government’s political will and intent is extremely important. Particularly, the President’s will is most important. This is because decentralization is fundamentally a problem of power reallocation. It is also an unstructured problem. Thus, pushback occurs from political parties and among government agencies. To overcome this, the most senior decision-maker’s attention and will is extremely important for a bureaucratized government organization culture. Second, formulation of policy discourse is indispensable. For the unstructured problem and the power reallocation problem, policy discourse formulation is extremely important to secure policy appropriateness. The Policy Discourse Formulation Group comprised of main committee members, professional members, operation of a taskforce team, and advisory member all centered around the Presidential Committee on Autonomy and Decentralization played an important role. Third, precise evaluation instrument (implementation instrument) is needed. Although government agencies are subject to decentralization performance evaluations, the majority of the tasks are inseparable from legislative tasks in generating results. Thus, it is more effective to employ an evaluation framework where evaluation is on implementation efforts using a process evaluation index rather than a framework on goal fulfillment. Fourth, it is important to maintain trust among agencies associated with decentralization. Power allocation problem entails sharply opposing interests among political parties in the legislative body and among government agencies outside of the Government. It is vital to communicate and share information among relevant institutions along with a balanced work implementation in order to form trust within policy implementation. The trust maintaining process contributes to mitigating opposition.

한국어

문재인정부의 핵심공약 중의 하나가 강력한 지방분권의 추진이었다. 이는 안정적이고 공정한 사회건설을 위해서는 정부내 균형잡힌 권한배분의 제도적 장치가 선결과제라는 문 제의식에 기반을 두고 있다. 권한배분을 위한 기본접근은 민주적 경쟁체재를 갖추는 제도 의 확장이었다. 특히 기존의 정부에서는 중앙정부와 지방정부라는 기관 간의 권한배분에 초점을 두고 있었던 반면에, 문재인정부에서는 대표와 주민 간의 경쟁체제를 갖추어 제도 를 강조했다. 이들 철학과 전략들은 자치분권종합계획에 담아졌고, 지방자치법 전부개정에 주민주권의 확장내용으로 담아졌다. 주요 성과는 지방자치법 전부개정, 지방이양일괄법 제 정, 자치경찰제 도입, 1차 재정분권의 추진 등의 성과로 나타났다. 이러한 자치분권을 추진 하는데 있어서 얻은 교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정부의 정책의지가 매우 중요하다는 것이다. 특히 대통열의 의지는 더욱 그렇다. 자치분권은 기본적으로 권력의 재배분 문제이다. 그리고 비정형화된 문제이다. 따라서 정 당간 정부부처간 저항이 있기 마련이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관료화된 정부조직문화에 서 최고 의사결정권자의 관심과 의지는 매우 중요하게 작용한다. 둘때, 정책담론의 형성이다. 비정형화된 문제와 권력재배분의 문제는 정책담론의 형성이 정책당위성을 확보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자치분권위원회를 중심으로 본위워, 전문위원, T/F팀운영, 그리고 자문위원 등의 정책담론 형성집단의 역할은 중요했다. 셌때, 적실한 평가도구(추진도구)가 있어야 한다. 자치분권의 성과는 정부부처를 상대로 평가하지만, 대부분의 과제들이 입법과제와 연결된다. 따라서 최종성과는 국회의 몫이 된 다. 그래서 평가체재는 목표달성 평가보다 추진노력을 평가하는 과정평가지표가 더 효과적 이다. 넷째, 자치분권과 관련된 기관들 간의 신뢰유지가 중요하다. 권력배분의 문제는 정부 이 외의 국회정당의 이해관계와 정부내 부처간의 이해관계가 첨예하게 대립되는 성격을 가지 고 있다. 관련된 기관 간의 정보공유와 소통이 그리고 균형잡힌 업무추진이 정책추진의 신 뢰를 형성하는데 필수적이다. 이러한 신뢰유지의 과정은 있을 수 있는 저항을 현저히 저감 시키는데 공헌한다.

목차

ABSTRACT
Ⅰ. Introduction
Ⅱ. Background
1. The Short History of the Government
2. Korea’s Emergent Challenges: Decentralization Policy Implementation Background
3. Local Administration System and Transfer of National Authorities
Ⅲ. Moon, Jae In Government’s Decentralization Policy Design and Institution Formulation
1. Decentralization Policy’s Conceptual Framework
2. Formulation and Implementation of the Master Plan for Decentralization Policy
Ⅳ. Evaluation Approach, Process, and Indicators
1. Formulation and Implementation of the Master Plan for Decentralization Policy
2. Final Evaluation Index and Method
Ⅴ. Summary and Conclusion
1. Special Attributes of President Moon, Jae In Government’s Decentralization Policy
2. Progress and Milestones
3. Tasks and Retrospection
4. Conclusion
Bibliography

저자정보

  • Chung, Soon-Gwan 정순관. Sunchon National University, Suncheon, South Korea
  • Ryu, Shin-Kue 류신규. Idaho State University, Pocatello, Idaho USA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