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Research Article

초중등 인공지능 교육을 위한 프레임워크 기초 연구

원문정보

Framework Research for AI Education for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김태령, 류미영, 한선관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s about framework basic research for elementary and secondary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In order to direct the education in the situation where the AI education framework is inadequate, the goal and development direction of AI education (AI education, glass box model, AI technology categorization, computer science and computing) is established through existing AI books and overseas cases. Thinking, AI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educator) was established, and Delphi was established based on this. Finally, the goal and subject of AI education were established. The goal is to “understand the principles and concepts of artificial intelligence, solve problems intelligently, and increase the capacity of AI thinking in a society where humans and AI coexist.” 3 Under the domain(Intelligence, Physical interaction, Social impact), seven topics were set up: problem and exploration, knowledge and reasoning, data and learning, sensing and recognition, language and communication, behavior and interaction, and AI and society. On the basis of this, the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was mapped and five class composition strategies (glassbox / modeling / spiral / CT method use / sensory block) were presented. The framework gained a value of .80 from 18 expert validity. It is hoped that the developed basic framework will be useful as a material for constructing future AI education.

한국어

본 연구는 초중등 인공지능 교육을 위한 프레임워크 기초 연구에 관한 것이다. 인공지능 교육의 프레임워 크가 미비한 실정에서 교육을 방향성을 정하기 위하여 먼저 기존 인공지능 서적과 해외 사례를 통해 인공 지능 교육의 목표와 개발방향(소양교육, 글래스박스 모형, 인공지능 기술 범주화, 컴퓨터 과학과 컴퓨팅 사고, 교육자 관점의 인공지능)을 설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델파이를 실시하여 최종적으로 인공지능 교육의 목표와 대주제를 설정하였다. 목표는 “인공지능의 원리와 개념을 이해하고, 지능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며 인간과 인공지능이 공존하는 사회에 필요한 인공지능 사고 역량을 신장한다.”이고 지능발현, 물리적 상호 작용, 사회적 영향의 3영역 아래 대주제로 문제와 탐색, 지식과 추론, 자료와 학습, 감각과 인지, 언어와 소통, 행동과 상호작용, 인공지능과 사회로 7가지를 설정하였다. 이를 기초로 하여 인공지능 기술을 맵핑하 고 수업 구성 전략 5가지(글래스박스/모델링/나선형/CT방법 사용/감각차단)를 제시하였다. 해당 프레임워크 는 18인의 전문가 타당도에서 평균 .80 값을 획득하였다. 개발된 기초 프레임워크가 앞으로의 인공지능 교 육을 구성하기 위한 자료로 유용하게 활용되길 기대한다.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1. 인공지능과 교육
2. 해외 인공지능 교육 사례 선행연구
3. 선행 연구
Ⅲ. 연구의 범위와 방법
1. 연구의 범위와 제한점
2. 프레임워크 개발 방향
3. 연구 방법
Ⅳ. 인공지능 교육 프레임워크
1. 인공지능교육의 정의
2. 인공지능교육의 목표
3. 인공지능교육의 목표
4. 인공지능교육의 내용요소
5. 수업 전략 개발 방향
Ⅴ. 연구 결과
Ⅳ.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김태령 Taeryeong Kim. 경인교육대학교 컴퓨터교육과
  • 류미영 Miyoung Ryu. 경인교육대학교 컴퓨터교육과
  • 한선관 Sungwan Han. 경인교육대학교 컴퓨터교육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