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특별세션 - 인공지능 시대의 예술작품: 창의적 신경 적대망, 생성적 적대 신경망, 데이터/정보

1980년대 백남준과 로이 애스콧의 네트워크 예술에서의 만짐과 뇌 개념

원문정보

The Concept of Touch and Brain in Nam June Paik and Roy Ascott’s Network Arts in the 1980s

심효원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examines Nam June Paik's satellite art and Roy Ascott's telematic art, focusing on the concept of touch and brain networks. Paik and Ascott are artistic pioneers dealing with network technology to characterize interactions among people on a planetary scale considering the sharing of emotions and feelings. To discuss this further, the study begins by suggesting that Walter Benjamin and Marshall McLuhan’s concept of tactility emphasizes relatively more popular arts and mass culture ― compared to the past ― to the multitudes and their collective participation. Paik’s idea and approach to art appears to align with this, as specifically represented in satellite projects in the 1980s, including Good Morning, Mr. Orwell. The telematic art of the time―conceived by Ascott―was a precursor to cyberspace, which would be conceptualized in the same vein. They both hypothesize a collective ‘brain’ for explaining why they incorporated network technology into their art. Furthermore, Paik and Ascott’s concept of a “brain-as-bio-network” allows us to reframe this idea as a prospective utopian hope for unity, i.e., the restoration of planetary wholeness. Finally, I link Paik and Ascott’s network art with the contemporary thinker Claire Colebrook’s ideas of hyper- and hypo-haptocentrism. By this attempt, it is revealed that early artworks that also utilized network technology display the potential utopian future. This allows us to think of a new way to orient humanity towards a future of openness which allows us to connect to others. All in all, this paper concludes that the two artists’ agendas remain valid ideologies which can continue to guide our ethical problem-solving throughout the current pandemic and in our current isolated age of digital technology.

한국어

본 연구는 백남준의 인공위성 예술과 로이 애스콧의 텔레마틱 예술을 촉각성과 뇌의 개념으로 분석한다. 그들은 1980년대 네 트워크의 가능성에 주목한 초창기 시각 예술가였으며, 사용자 집단 사이에서 통신 기술을 통해 만나고 감정, 느낌을 서로 주 고받고자 하는 전 지구적 접촉이라는 구상을 펼쳤다. 먼저 시각예술과 문화에 관한 발터 벤야민과 마샬 매클루언의 촉각성에 관한 사상을 살핀다. 그리고 그들이 촉각성을 대중과 집단 참여라는 두 개의 논제와 결부 지어 논한다는 점에 주목한다. 백남 준의 인공위성 예술의 방향성 역시 그 논제를 잇고 있으며, <굿모닝 미스터 오웰>을 포함한 작품과 그의 예술관을 그 근거로 제시한다. 사이버스페이스의 초창기 실험이었던 애스콧의 텔레마틱 예술도 같은 맥락에 있다. 둘 다 네트워크 기술의 예술화 를 설명할 때 바이오 네트워크, 즉 뇌 개념을 중요하게 언급했다는 점에서 그렇다. 그리고 뇌 개념은 전 지구적인 전체성의 회복에 관한 그들의 바람과 이어진다. 마지막으로 이를 현재 동시대적 논제로 연장하기 위해 클레어 콜브룩의 초촉각중심주 의와 저촉각중심주의 개념을 끌어온다. 이를 통해 과거의 네트워크 예술이 단순한 낙관주의가 아니며, 서로에게 열려있고 서 로가 연결된 새로운 휴머니티를 지향하는 예술적 기획이었음이 밝혀진다, 본 연구는 최종적으로 이를 현재 팬더믹으로 인한 단절의 시대, 우리에게 주어진 윤리적 과제임을 주장하려 한다.

목차

Abstract
국문초록
1. 서론
2. 대중 시각 미디어에서의 참여와 촉각성의 문제
3. 네트워크 예술에서의 참여와 촉각성의 문제
3.1. 백남준의 인공위성 예술
3.2. 애스콧의 텔레마틱 예술
4. 촉각의 반성적이고 윤리적인 적용
5. 결론: 촉각성과 결부된 우리의 동시대 과제
참고문헌

저자정보

  • 심효원 Hyowon Shim. 연세대학교 매체와예술연구소 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