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특별세션 - 인공지능 시대의 예술작품: 창의적 신경 적대망, 생성적 적대 신경망, 데이터/정보

생성적 적대 신경망을 활용한 영상 생성 기술의 초현실주의적 기제 - 도시 풍경을 생성하는 작업 뷰포터(Viewporter)의 창작 배경을 기반으로

원문정보

Surrealistic Aspects of Image Generation Techniques Using a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 - Based on the Creative Process of Viewporter Generating a City Landscape

주진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Photography and film have been actively used in relation to surrealistic artworks to depict human internal desires. The author of this study uncovered the creative potential of image generation techniques, specifically a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 (GAN), for creating surrealistic artworks in addition to the traditional imaging techniques used in photography and film, such as cameras, projection, and film editing. This study utilizes a mixed research method involving a literature review of surrealistic film and media art, an analysis on GAN techniques, and media art project development. Based on Freidrich Kittler’s analysis method for media studies, this research examines the operational methods of GAN for image generation. The study summarizes the three steps of GAN techniques (data learning, algorithmic statistics, and model application processes) as showing fragmentary, fluidity and combinatory aspects, which relates well with surrealistic expressions. Based on the findings here, the author created an interactive media art project, termed , and compared a surrealistic AI technique with social phenomena pertaining to city development. depicts a landscape of a non-existent city and shows this view through a device that resembles a telescope. Developing this project, the author aimed to visualize the subconscious desires of a group, which the viewer can internalize through the artwork. This study shows the future direction of surrealistic artworks using AI for image generation, which is to evoke and drive the viewer’s subconscious desires.

한국어

사진과 영상 매체는 인간 내면의 환영을 생생하게 묘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초현실주의적인 작업의 표현에 적극적으로 활용 되었다. 사진과 영상 기술들에 덧붙여서 최근 획기적인 횡보를 보여준 인공지능 기술, 특별히 생성적 적대 신경망(GAN) 또 한 초현실주의적 작업의 도구로써 무한한 가능성을 제공한다는 관점에서 본 연구를 진행하게 되었다. 초현실주의적 영상의 특성에 관한 문헌 연구, GAN의 기술의 분석, 나아가 이를 적용한 작업 창작을 통한 복합적인 방식으로 본 연구를 진행한다. 특별히 프리드리히 키틀러(Fredrich Kittler)의 매체 분석 방식과 유사하게 인공지능 기술의 작동 방식을 조명한다. 영상 생성 기술의 작동 방식인 데이터 학습, 알고리즘을 활용한 통계, 그리고 모델을 적용하는 세 단계에서 가지는 특성을 파편성, 가변 성, 결합성으로 정리하며 이를 초현실주의적인 표현 요소로써 발견하였다. 이러한 특성을 적용하여 도시 개발에 관한 환상과 허상이라는 주제로 본인의 인터렉티브 미디어아트 <뷰포터(Viewporter)>를 제작하였다. <뷰포터>는 GAN을 활용하여 가상 의 도시 풍경을 생성해내고 이 영상을 전망대의 망원경과 유사한 장치를 통해 관객에게 보여준다. 이 작업을 통해 사회 집단 이 가진 무의식적 욕망을 묘사하는 한편, 이를 관객이 내면화하고 향유할 수 있도록 하였다. <뷰포터> 작업을 통해 인공지능 기술이 생성한 영상이 보는 이의 무의식적인 욕망을 촉발하는 촉매제로써 작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 초현실주의적 예술이 향후 나아가야 할 방향성을 발견할 수 있었다.

목차

Abstract
국문초록
1. 서론
1.1. 논문의 배경
1.2. 연구방법
2. 영상매체의 초현실주의적 요소
2.1. 내면의 환영으로써의 사진과 영상매체
2.2. 인공지능의 영상 생성 기술을 활용한 미디어 아트
3. 내면의 환영을 생성하는 인공지능 기술
3.1. 영상 생성 기술로써의 적대적 생성 신경망의 분석
3.2. 본인의 작업 <뷰포터 (Viewporter)>
4.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주진호 Jean Ho Chu. 서강대학교 아트&테크놀로지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