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식민지시대의 기독교와 근대성 : 자본주의 근대성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Christianity and Modernity under the Japanese Colonial Rule : The Case of Capitalist Modernity

이병성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Modernity is an epistemological category, and four conceptual distinctions are crucial for understanding the formation of modernity in colonial Korea: 1) the modern as a condition and as a normative frame, 2) the Western and the modern, 3) modernization and modernity, and 4) the colonial and the modern. This study examines the Protestant missionaries’ view on capitalist value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analyzes their economic ethics that they taught and emphasized to Koreans. In the Japanese colonial era, the capitalist system in Korea slowly but incrementally expanded though the colonial economy of Korea was extremely subordinated to the Japanese Empire. Protestant missionaries believed that it was their “duty” and “responsibility” as Christian missionaries to help and train Koreans to adapt to the modern economic system. Self-help was central to the economic ethics of Protestant missionaries. Missionaries had played an important role in spreading modern economic norms and values and in creating capitalistic human beings by nurturing economic ethics, whose core element was self-help ethics. The self-help ethics of missionaries were closely related to the colonial self-help ethics expressed as “self-reliance,” a colonial policy carried out by the colonial government in the 1930s. Protestant missionarie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formation of capitalist modernity in Korea by spreading self-help ethics. This is a feature of Christian modernity in colonial Korea.

한국어

근대성은 시간적인 범주가 아니라 인식론적 범주이다. 식민 조선 에서 근대성 형성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네 가지 개념적 구별이 필수적이라고 주장한다. 첫째, 조건으로서의 근대와 규범적 준거틀로 서의 근대를 구분해야 한다. 둘째, 서구적인 것과 근대적인 것을 구 분해야 한다. 셋째, 근대화와 근대성을 구분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식민성과 근대성을 구분하는 것이 필요하다. 기독교가 근대성에 영 향을 준 영역 중의 하나는 자본주의에 대한 견해이다. 이 논문은 일 제 시대 개신교 선교사들이 보여준 자본주의 가치관을 검토하고, 그들이 한국인들에게 가르치고 강조한 경제 윤리를 분석한다. 일제 시대에 조선의 식민 경제는 일제에 종속되었지만 전체적으로 자본 주의 체제가 날로 확대되었다. 개신교 선교사들은 조선인들이 근대 적 경제체제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돕고 훈련시키는 것이 선교적 차원에서 그들의 “의무”이고 “책임”이라고 생각했다. 개신교 선교 사들의 경제 윤리에 핵심적 가치는 자조이다. 선교사들은 자조 윤 리를 핵심으로 하는 경제 윤리를 통하여 근대적 경제적 규범과 가 치를 확산시켰고, 자본주의적 인간을 만들어내는데 아주 중요한 역 할을 하였다. 선교사들의 자조 윤리는 일제가 1930년대에 강조한 “자력 갱생”이라고 표현된 식민지 자조 윤리와 깊은 연관성을 가지 는데, 이 논문에서는 그 의미를 분석한다. 개신교 선교사들은 자조 윤리를 통하여 한국에서 자본주의 근대성의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이것은 바로 기독교 근대성의 한 특징이다

목차

국문초록
Ⅰ. 들어가는 말: 기독교와 근대성
Ⅱ. 선교사들의 경제윤리와 자본주의적 삶
Ⅲ. 선교사들의 자조윤리
Ⅳ. 일제의 자조윤리로서의 “자력갱생”과 선교사들
Ⅴ. 자조윤리와 자본주의 그리고 선교사
Ⅵ. 나가는 말: 자본주의 근대성과 기독교 근대성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병성 Lee, Byong Sung. 연세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9,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