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문화 융합(CC)

보편윤리학과 실용주의적 다원론

원문정보

Universal Ethics and Pragmatic Pluralism

권수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deals with two methods regarding fact and value. One is the method of H. Putnam, which is to break the boundary between fact and value and to make a world where the two have an inherent connection. The other is the method of J. Habermas, which regards fact and value as the product of an intersubjective agreement based on argumentation. Putnam, through his position of internal realism, moves from realism to pragmatism, especially by combining the rationalist tradition of Kant and Dewey's pragmatic views. Habermas also stands in the tradition of rationalism and universalism in Kant, at the same time emphasizing the practicability of truth in Hegel's tradition of historical reason. The significance of the strategy of Putnam and Habermas is that they have attempted to revive the realm of value against the strict dichotomy of facts and values and the subsequent devaluation of rationality in the realm of value. The starting point of this attempt is that the practical foundation of rationality is laid on life and practice. This could provide the room for escaping from rationality, which prioritizes only truths that reveal facts, that is, instrument-reduced rationality, the room for the revival of practical rationality through reflection on what is the purpose of life, and, in turn, the room for resisting to pass the realm of values and norms to the logic of habitual routines or customs. However, despite such common goal, there are clear limitations to Putnam's approach due to the differences in the strategies taken on facts and values. Putnam's method can demolish the whole universal framework that is the foundation where pragmatic pluralism will be fostered, eliminat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specificity of values and the universality of norms and shaking up the status of universal ethics. Therefore, Habermas' ethical theory is proposed as an alternative to establish a basis for universal ethics by relying on communication rationality and to secure the coercion of norms and blossom cultural pluralism as a diverse lifestyle based on this coercion.

한국어

본 논문은 사실과 가치에 관한 두 가지 방식의 윤리이론을 다룬다. 하나는 퍼트남(H. Putnam)의 방식으로 사 실과 가치에 대한 경계를 허물어 사실과 가치가 내재적 연관을 갖는 하나의 세계로 만드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하버 마스(J. Habermas)의 방식으로 사실과 가치를 논증에 기초한 간주관적 합의의 산물로 간주하는 것이다. 퍼트남은 내 재적 실재론(internal realism)의 입장을 통해 실재론에서 실용주의로 이행하고 있으며, 특히 칸트의 이성주의 전통과 듀이의 실용주의적 견해를 양립시키면서 자신의 입장을 전개하고 있다. 하버마스 역시 칸트의 이성주의와 보편주의의 전통에 서 있으며, 동시에 헤겔의 역사적 이성의 전통에서 진리의 실천성을 강조한다. 이들의 전략이 지니는 의의는 사실과 가치에 대한 엄격한 이분법과 그에 따르는 가치의 영역에 대한 합리성의 평가절하에 대항하여서 가치의 영역 에 대한 부활을 시도했다는 데 있다. 이러한 시도의 출발점은 합리성의 현실적 토대를 삶과 실천에 놓는다는 점이다. 이를 통해 사실을 밝혀내는 진리만을 우선시하는 합리성, 곧 도구적으로 축소된 합리성에서 벗어나는 개념적 장치가 주어진다. 그리고 이는 다시 삶의 목적이 무엇인지에 대한 성찰을 통한 실천적 합리성이 부활될 수 있는 여지를 마련 하며, 가치와 규범을 타성적 일상이나 관습의 논리에 맡겨버리는 것에 저항할 계기를 제공한다. 하지만 이와 같은 공 동 목표에도 사실과 가치에 대하여 취하는 전략의 상이함에 따라 퍼트남의 방식에는 분명한 한계가 노정되어 있다. 퍼트남의 방식은 가치의 특수성과 규범의 보편성에 대한 차이를 없애고 보편주의 윤리의 지위를 흔들어 놓음으로써, 실용주의적 다원론이 자리할 토양으로서 보편적인 틀 자체를 와해시킬 수 있다. 이에 의사소통합리성에 의지하여 보 편주의 윤리의 근거를 마련하고자 하며, 이를 통해 규범의 강제력을 확보하고 이 강제력을 토대로 다양한 삶의 양식 으로서 문화적 다원주의를 꽃피우고자 한 하버마스의 방식을 대안으로 제시한다.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실용주의적 다원론
Ⅲ. 실용주의적 다원론의 강점과 약점
Ⅳ. 의사소통합리성과 보편적 타당성
Ⅴ.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권수현 Kwon, Su-Hyeon. 회원, 성신여자대학교 윤리교육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