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문화 융합(CC)

긍정적 정서성향과 조직시민행동 : 긍정적 집단 분위기 인식의 조절효과와 집단정체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Trait Positive Affect and OCBI : The Moderating Role of Perceived Group Positive Affect and the Mediating Role of Group Identification

김문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Drawing upon research in affect and social identity theory, this study examines when and how an individual’s trait positive affect (TPA) exert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person’s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directed toward individuals (OCBI). A moderated mediation model was tested by using the data of 293 employees nested in 66 work groups.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indirect effect of TPA on OCBI mediated by group identification (GI) is significantly positive only when perceived group positive affect (PGPA) is low, highlighting the substituting role of PGPA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PA and GI. The significant conditional indirect effects at the low level of PGPA suggest that TPA functions as significant, affective resources for enhancing GI and consequently increasing OCBI of the focal member when PGPA is low. By contrast, TPA’s role in enhancing GI becomes redundant when PGPA is high. The current analysis reveals potential complementary functions of TPA and PGPA in explaining subsequent identity cognition and individual behavior.

한국어

조직구성원이 상사나 동료를 위해 자발적으로 도움을 베푸는 행동(OCBI)은 조직의 성공과 경쟁력 향상에 도 움이 되지만, 기업의 현실에서 OCBI를 활성화시키는 것은 쉽지 않다. OCBI의 선행요인으로 긍정적 정서가 최근 많 이 연구되고 있으나, 긍정적 정서-OCBI 관계의 기저에 있는 매개 프로세스에 대한 연구는 여전히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개인의 긍정적 정서성향이 OCBI의 실천으로 이어지도록 돕는 집단 정체감의 매개역할에 주목한다. 또한, 개인의 긍정적 정서성향과 상호작용하여 OCBI의 활성화 프로세스에 작용하는 긍정적 집단 분위기 인식의 조절 효과를 검증한다. 66개 작업집단에 속한 293명의 직원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조절된 매개분석을 실시한 결과, 긍정적 정서성향이 집단 정체감을 거쳐 OCBI에 미치는 간접효과는 긍정적 집단 분위기 인식이 낮을 때만 유의하며, 긍정적 집단 분위기 인식이 개인의 긍정적 정서성향을 대체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긍정적 집단 분위기 인식이 낮을 때는 개인의 긍정적 정서성향이 집단 정체감을 높여주는 매우 중요하게 작용하여 OCBI를 높이지만, 긍정적 집 단분위기 인식이 높을 때는 개인의 긍정적 정서성향이 수행하는 역할이 긍정적 집단 분위기 인식의 역할과 중복되어 대체된다는 연구 시사점을 제공한다.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가설
1. 긍정적 정서성향과 개인 대상 조직시민행동
2. 집단정체감의 매개역할
3. 긍정적 집단 분위기 인식의 조절효과
4. 긍정적 집단 분위기 인식에 따른 조절된 매개효과
Ⅲ. 연구방법
1. 자료의 조사
2. 변수의 측정
Ⅳ. 결과
Ⅴ.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김문정 Kim, Moon Joung. 정회원, 청주대학교 경영학부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