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Developing Gardens in Urban Idle Space
초록
영어
We aimed to find new space types and characteristics for creating gardens in the city through the type of idle space in the city, present guidelines that can be used in creating gardens in the future, and establish basic data for expanding green infrastructure. As a result, we found that the idle space in the city was classified into four types, and it was determined that differentiation should be given to the creation of each type. The achievements of this study can be a potential source of urban ecosystem services that can provide community benefits and opportunities for urban regeneration through the redevelopment of the community and support the health and well-being of local residents. In addition, urban idle space can be a valuable resource as a green infrastructure that can be used to support the health of urban ecosystems and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urban residents.
한국어
본연구는 도시 유휴공간 유형화를 통한 도시 내 정원 조성을 위한 새로운 공간 형태와 특성을 발굴하여 향후 정원 조성 시 활용가능한 가이드라인의 제시 및 그린인프라 확충의 기초자료 구축을 목표로 진행하였다. 그 결과, 도시의 유휴공간은 4개 의 유형으로 분류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각 유형별 조성방안에는 차별화를 두어야 한다고 판단하였다. 이러한 본 연구의 성과는 지역사회의 재개발을 통해 지역 사회 혜택 및 도시재생의 기회를 제공하고 지역주민의 건강과 웰빙을 지원할 수 있는 잠재적인 도시생태계서비스의 원천이 될 수 있으며 귀중한 도시경관자원이 될 수 있다. 또한, 도시 유휴공간은 도시생태계의 건강을 지원하고 도시 주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는 그린인프라의 역할로서 소중한 자원이 될 수 있다.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의 방법
1. 공간적 범위
2. 내용적 범위
3. 주성분분석에 의한 1차 유형화
4. 전문가 인터뷰(FGI)에 의한 변수추출
5. 요인분석에 의한 2차 유형화
Ⅲ. 연구의 결과
1. 주성분분석에 의한 1차 유형화
2. 전문가 인터뷰(FGI)에 의한 변수추출
3. 요인분석에 의한 2차 유형화
4. 유형별 정원조성 방안
Ⅳ. 결론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