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문화 융합(CC)

유치원 교사의 공감 능력이 긍정심리자본을 통해 직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원문정보

The Effect of Kindergarten Teacher’s Empathy Ability on Job Stress through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지미선, 이신복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kindergarten teachers play a role in closely babysitting infants, teachers' high empathy helps respect infants' emotions and opinions, and leads to positive relationships, ultimately improving their job satisfaction and confidence, but lack specific research results. As a result, this study sought to find out how the empathy of kindergarten teachers affects job stress through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to find ways to increas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empathy. To achieve this, the research method identified the causal relationship of each variabl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urvey of 212 kindergarten teacher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ccording to the study, first, among the empathy abilities of kindergarten teachers, emotional empathy has a positive impact on all factors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Second, cognitive empathy among empathy abilities has a positive impact on all factors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Third, looking at the overall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f kindergarten teachers and the effects of job stress showed that it negatively affects self-efficacy and resilience.

한국어

유치원 교사는 영유아를 밀접하게 옆에서 보육하는 역할을 하며, 교사의 높은 공감 능력은 유아의 감정 및 의 견을 존중하는 데 도움을 주며, 다양한 관계를 긍정적으로 이끌어 궁극적으로 자신의 직무만족감 및 자신감이 향상된 다고 연구되었으나 관련한 구체적인 연구 결과는 부족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의 공감 능력이 긍정 심 리자본을 통해 직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지 알아보고, 긍정 심리자본 및 공감 능력을 높일 수 있는 방안 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이루기 위해 연구 방법은 서울 및 경기 지역의 유치원 교사 212명을 대상으로 하여 설 문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각 변수의 인과관계를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유치원 교사의 공감 능력 중 정서적 공 감 능력이 긍정 심리자본의 각 요소에 모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공감 능력 중 인지적 공감 능력이 긍정 심리자본의 각 요소에 모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치원 교사의 긍정 심리자본 전체와 직무 스트레스에 영향을 살펴본 결과, 자기효능감과 복원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나타났다.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공감능력
2. 긍정심리자본
3. 직무 스트레스
Ⅲ. 연구 방법
1. 표본설계와 측정 도구
2. 분석방법
3. 가설설정
Ⅳ. 분석결과
1. 표본의 특성
2. 측정 항목의 신뢰성과 타당성
3. 연구모형 검증 결과
Ⅴ.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지미선 Mi-Sun Ji. 정회원, 세종대학교 일반대학원 복지·커뮤니케이션협동학과 박사과정
  • 이신복 Sin-Bok Lee. 정회원, 단국대학교 자유교양대학 초빙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