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묵란화(墨蘭畵)에서 ‘난초 치다’의 역사적 근원 시탐

원문정보

Exploration of Historical Root of ‘Nancho Chida’ in Korean Orchids Ink Paintings

최현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term ‘Nancho Chida[whipping a korean orchid]’ implicitly refers to principles and methods of how to strongly drive a brush and draw a single stroke (一劃) uniquely adopted by Korean Orchids Ink Paintings (墨蘭 畵). This paper examines the historical root of ‘Nancho Chida[whipping a korean orchid]’ in terms of the method of controlled brush movement (運 筆) and application of the same brushstroke for writings and paintings (書畫用筆同法) in order to clarify its implications. The paper aims to thoroughly spell out implications within ‘Nancho Chida[whipping a korean orchid]’ from those two aspects; support painters to realize a method of single stroke as a basis of full stroke (萬劃) who are struggling to experiment and develop new forms of single strokes and brush strokes and ink usage (筆墨) and; ultimately help them to create characterful in-and-wash painting (水墨畵). First, the root of ‘Nancho Chida[whipping a korean orchid]’ is supposed to be motions of sword dance (劍舞) from a perspective of the method of controlled brush movement, which is strongly justified by the fact that strokes of 8th-century painter Wu Daozi (吳道子) are called ‘drawing of korean orchid leaf forms (蘭葉描).’ For this reason,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historical records related to brush wielding (揮毫) of Wu Daozi which was affected by General Pei Min’s (裵旻將軍) sword dance. Next, the root of ‘Nancho Chida[whipping a Korean Orchid]’ is inferred as striking a korean orchid (撇葉, pronounced as ‘Byeol Yeop’ in Korean language, not hitting a korean orchid but vigorously drawing one on paper) in an aspect of application of the same brushstroke for writings and paintings, a method to draw a painting through appropriation of a calligraphic means to use a brush (書藝筆法). It was because the word Byeol (撇) means, by definition, ‘striking, swinging and slanting’ and serves as another name of ‘left slant [丿]’ among strokes of Chinese letters. The ground for Byeol Yeop as the root of ‘Nancho Chida[whipping a korean orchid]’ is a literature on early 18th-century Korean Orchids Ink Paintings, which states “korean orchid leaves are not called to be painted (畵葉) but rather called struck (撇葉, byeol yeop). Also, it is the same as writing letters using Byeol Beop (撇法), a calligraphic means to use a brush. [不曰畵葉, 而曰撇葉者. 亦如寫字之用撇法.]” Thus, this paper is to compare and analyze Byeol Yeop methodology (撇葉式) in the field of Korean Orchids Ink Paintings and Byeol Beop (撇法) from the calligraphic area. Through considerations stated above, this study intends to grasp means to use a brush (筆法) and the principle of controlled brush movement (運 筆) to draw a dynamic and sharp single stroke in Korean Orchids Ink Paintings which can be regarded as implications of ‘Nancho chida[whipping a korean orchid]’ from those two perspectives.

한국어

‘난초 치다’는 붓을 세차게 휘둘러 묵란화(墨蘭畵)만의 특별한 일획(一劃)을 긋 는 원리와 방법을 함축적으로 담고 있는 용어이다. 이 논문에서는 운필(運筆)과 서화 용필동법(書畫用筆同法) 관점에서 ‘난초 치다’의 역사적 근원에 대한 고찰을 통하여, 그 함의(含意)를 밝혀 보고자 한다. 본고의 목적은 이러한 두 가지 관점에서 ‘난초 치 다’에 담긴 함축적 의미를 면밀히 규명함으로써, 역동적 수묵화(水墨畵) 필획에 관심이 있으며 새로운 필묵(筆墨) 형상들을 개발하고자 실험하고 고뇌하는 화가들이 만획(萬 劃)의 근본으로서 일획의 한 방법을 터득하여 개성 있는 작품을 창작하는데 도움이 되 고자 하는 것이다. 먼저 붓을 휘두르는 원리인 운필 동작 관점에서는 ‘난초 치다’의 근원을 검무(劍 舞, 칼춤)로 추정하였는데, 8세기 화가 오도자(吳道子)의 필획을 ‘난엽묘(蘭葉描)’라고 부른다는 점이 결정적 단서가 되었다. 이러한 이유로 배민장군(裵旻將軍)의 검무에 영 향을 받은 오도자의 휘호(揮毫)와 관련된 역사적 기록들을 고찰해 보겠다. 다음으로 서예필법(書藝筆法)을 차용하여 그림을 그리는 방법인 서화용필동법 관점에서는 ‘난초 치다’의 어원을 별엽(撇葉)이라고 추론하였는데, 별(撇)이 ‘치다, 휘 두르다, 삐치다 등’의 뜻을 갖고 있으며 한자필획 중에서 ‘왼쪽 삐침[丿]’의 또 다른 명 칭이기 때문이었다. 이 ‘난초 치다’의 어원으로서 별엽에 대한 근거는, 18세기초 묵란 화 관련 문헌 자료에 나오는 “화엽(畵葉), 난초 잎을 그린다하지 않고, 별엽(撇葉), 난 초 잎을 친다고 말한다. 이것은 또한 서예필법인 별법(撇法)을 사용하여 글씨를 쓰는 것과 같다. [不曰畵葉, 而曰撇葉者. 亦如寫字之用撇法.]”라는 내용이다. 그리하여 이와 관련된 묵란화의 별엽식(撇葉式)과 서예의 별법(撇法)을 비교분석하겠다. 이와 같은 고찰을 통하여 두 가지 측면에서 ‘난초 치다’의 함축적 의미라고 할 수 있는, 묵란화의 역동적이며 예리한 일획을 긋기 위한 운필(運筆) 동작 원리와 필법(筆 法)을 파악해 보고자 한다.

목차

<논문요약>
Ⅰ. 序論
Ⅱ. 운필 동작 관점에서 ‘난초 치다’의 역사적 근원 고찰
1. ‘난초 치다’의 근원으로서 검무(劍舞) 동작 - 오도자의 난엽묘(蘭葉描)
2. 오도자(吳道子)의 휘호(揮毫)와 배민장군(裵旻將軍)의 검무(劍舞)
Ⅲ. 서화용필동법 관점에서 ‘난초 치다’의 어원 분석
1. ‘난초 치다’의 어원(語源)으로서 별엽(撇葉)
2. 묵란화의 별엽식(撇葉式)과 서예의 별법(撇法) 비교
3. 화론(畫論)에서 별법(撇法)이 거론된 사례
Ⅳ. 結論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최현우 Choi, Hyun Woo. 홍익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