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퇴계 매화시에 나타난 소박미 담론

원문정보

Discourse on the Natrual Beauty of Toegye’s Maehwa Poem

최다은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Natural beauty(素樸)' is an aesthetic category of oriental aesthetics or an aesthetic element referred to a characteristic of Korean beauty. When looking at the discussion on natural beauty, we find that whether ‘Plainness(素) and Simplicity(樸)’ means a metaphysical principle or a physical feature, is at the boundary of an ambiguous interpretation. This study affirms the nature that exists naturally, and discusses the meaning of the Bon-yeon-ji-sung(本然之性) born by this nature. It will lead to a universal meaning of nature that encompasses Confucian and Taoist meanings. Because there is no bad nature in this world, it is called 'beautiful' because we are happy to know that the pure sung(性) ordered by the sky(representing nature) is good. Toegye’s Maehwa poem show 'Natural beauty(素樸)'. This is because Toegye is a scholar who has studied and acquired the correct understanding of emotions more faithfully than anyone else. Confucian scholars thought that the fundamental principle of natural change, ‘Muguek and Taegeuk(無極而太極)’ is inherent in all things in the universe. Heaven, earth and all things are originally one, and this is called Li (理). Therfore, humans and Maehwa have the same principle. For Toegye, Maehwa is the whole to discover the joy of beings, including myself, including these principles of nature. There is plenty of room to examine the connection between Toegye's Dosanmae(陶山梅) and Natural beauty. The discourse of natural beauty in Toegye poetry is significant in expanding the discussion on Toegye aesthetics.

한국어

‘소박(素樸)’은 동양미학의 미적 범주 혹은 한국미의 특질로 언급되는 미적 요소 이다. 소박에 관한 논의를 살펴보면 ‘소박’이 형이상학적인 원리인지, 아니면 형이하학 적인 특징인지 애매한 해석의 경계에 놓여있음을 발견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무위 자연(無爲自然)으로서 자연을 긍정하고 그러한 자연에 의해 타고난 본연지성(本然之 性)의 의미를 함께 논함으로써 유가와 도가를 아우르는 소박의 보편적인 의미를 도출 할 것이다. 이 세상에 나쁜 자연은 없기 때문에 하늘(자연을 대표한다)이 명한 순선한 성(性)이 좋은 것임을 알고 기뻐하기에(情) 이를 아름답다(美)하는 것이다. 퇴계 매화시를 통해 소박의 아름다움을 논하는 것은 퇴계가 감정의 올바른 이해 를 누구보다 충실하게 연구하고 체득한 학자이기 때문이다. 성리학자들은 자연 변화의 근원적 원리인 ‘무극이태극(無極而太極)’이 우주 만물에 내재돼 있다고 보았다. 천지만 물이 본래 일체이며, 이를 리(理)라고 하여 인간과 매화에서 동일한 리를 발견한다. 퇴 계에게 있어 매화는 이러한 자연의 원리를 비롯하여 나를 포함한 존재의 기쁨을 발견 하게 되는 총체이다. 퇴계의 도산매(陶山梅)와 ‘소박미’의 연관성을 검토해볼 여지가 충분하다. 퇴계시에 나타난 소박미 담론은 퇴계미학에 대한 논의를 확장시키는데 의의가 있다.

목차

<논문요약>
Ⅰ. 들어가는 말
Ⅱ. 퇴계의 소박미(素樸美) 형성배경과 의미
Ⅲ. 도산매(陶山梅)의 미적 함의
Ⅳ. 나오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최다은 Choi, Da Eun. 성균관대학교 동양철학ㆍ문화연구소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