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한국무용 팔 동작을 이용한 다방향 시추적, 전정운동이 여성노인의 시야, 균형, 보행에 미치는 영향

원문정보

Effects multidirectional smooth pursuit eye vestibular movement with Korean traditional dance on the female elderly’s visual field, balance, and gait

안주연, 이경옥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ulti-directional smooth pursuit eye, vestibular movement using Korean dance arm movements on the vision, balance, and gait of elderly women. The subject of the study was 30 female elderly women aged 65 years or older who participated in Korean dance and 30 comparative groups who did not participate. Based on Korean dance, the program consists of improving one-eye-to-head coordination, fixing the eye, activating the proprioceptive and vestivular system, and strengthening the gait training, and was conducted twice a week for 12 weeks, for 60 minutes. The independent variable was the presence or absence of participation in the Korean dance multi-directional smooth pursuit eye, vestibular movement training, and the dependent variables were visual field, balance, and gait. As the experimental equipment, a paperboard field of view inspection method (Jaemin Kim, Geunchang Yoo, 2002), balance (3m target return), and a pressure distribution measurement (E-mad, Germany) were used. For walking, the foot was divided into four areas, and the contact time, the contact area, the maximum force, and the maximum pressure were analyzed.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in compliance with the research ethics after being deliberated and approved by the Ewha Womans University Bioethics Committee (IRB) (Project No.: 155-4). Data processing was performed by the independent test of the SPSS (22.0) statistical program, the analysis of the variance of the two-way allocation, ANCOVA and the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was .05. The subject’s visual field was activated on the right side compared to the left side, and was mostly unbalanced. The multi-directional smooth pursuit eye, vestibular movement training in Korean dance helped to expand the visual field and balance the left and right of the visual field, and the walking ability was improved due to the increase in walking speed and use of toe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visual field and the walking was proved and had a positive effect on each other. Multi-directional smooth pursuit eye, vestibular movement training using arm movements in Korean dance was effective in improving the walking ability required for the elderly, as well as for the expansion and balance of the horizontal field of view. Based on these studies,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ulti-directional smooth pursuit eye, vestibular movement training even for the elderly with stroke or dementia whose visual field is narrowing, and this will be a future task.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무용 팔 동작을 이용한 다방향 시추적, 전정 운동이 여성노 인의 시야, 균형, 보행에 미치는 효과를 구명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65세 이상의 여성노인으로 운동에 참여한 실험집단 30명, 참여하지 않은 비교집단 30명이다. 프로 그램은 한국무용을 기반으로 한눈-고개 협응향상, 시선고정, 고유수용감각 및 전정계 활성화, 보행강화 훈련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2주간 주 2회, 60분씩 실시하였다. 독 립변인은 한국무용 다방향 시추적 전정 운동의 참여 유무이며, 종속변인은 시야, 균 형, 보행이다. 실험장비로는 종이판 시야검사법(김재민 외, 2002)과 균형(3m 표적 돌아오기), 압력분포측정기(E-mad, 독일)를 사용 하였다. 보행은 발바닥을 총 4개 영역으로 나누어 접촉시간, 접촉면적, 최대 힘, 최대압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이 화여자대학교 생명윤리위원회(IRB) 심의 승인을 받아 연구 윤리를 준수하여 진행하 였다(과제번호:155-4). 자료처리는 SPSS(22.0)통계프로그램의 독립t검정, 이원배 치분산분석, 공변량분석,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통계적 유의 수준은 .05이다. 대상 자들의 시야는 좌측에 비하여 우측이 활성화 되어 대부분 불균형 이었다. 한국무용 다 방향 시추적, 전정 운동은 시야 확장 및 시야의 좌우균형에 도움을 주었으며, 균형과 보행의 속도 가 증가하였고, 발가락의 사용 증가로 인해 보행능력이 향상되었다. 시야 와 보행은 상관관계가 입증되어 서로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무용에서의 시선 처리 는 동작의 한 부분이다. 올바른 시선은 움직임의 범위를 극대화하고, 더욱 더 자연스 럽고 우아한 동작을 할 수 있게 한다. 한국무용의 이러한 장점을 살린 팔 동작을 이용한 다방향 시추적, 전정 운동은 시 야의 확장 및 균형은 물론 노인에게 필요한 균형과 보행능력 향상에 효과적이었다. 이 를 바탕으로 시야가 좁아지는 뇌졸중 또는 치매노인에게도 다방향 시추적, 전정 운동 의 효과를 구명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는 추후과제로 한다.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Ⅳ. 논의
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안주연 An, Ju-yeun. 구미시립무용단
  • 이경옥 Yi, kyung-ock. 이화여자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