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예기무의 접시춤에 대한 논고

원문정보

A Discussion of Yae-gi-moo’s Plate Dance

신명숙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re is a unique dance in Yae-gi-moo, designated as Jeollabuk-do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No. 48, which we call a “Plate Dance.” Dancing with tableware is the first dance in history. Although Yae-gi-moo has been designated as a cultural property, the explanation of the history and theoretical background is very weak. Recently, as I was able to read books specializing in dance of the Korean-Chinese and North Koreans, I learned that Korean-Chinese and North Koreans also do the plate dance. It is said that the “Plate Dance” of the ethnic Koreans living in China was created in the form of a female group dance on sixtieth birthday and celebrations, while the North Korea’s “Plate Dance” was created from the form of “Hyang-bang-moo,” which was performed during the Joseon Dynasty. What they have in common is: the border between China, the Soviet Union. and there are also inhabited by variety ethnic such as the Mongolian, Jurchen people, and Han Chinese. It was considered to be related to the Chinese Mongolian’s “Chung-wan-moo,” a typical dance performed with a bowl on top of the head. Korean “Plate Dance” was taught by Park Geum-seul from Jeong So-san, a gisaeng of the Daegu and Jeong Ja-san, a gisaeng of the Jeolla-do and passed on to Kim Gwang-sook in 1968. The three countries’ “Plate Dance” was different, but the meaning of the dance of “Plate Dance” contained the significance of respect, life, and blessing.

한국어

전라북도 무형문화재 제 48호로 지정받은 예기무 안에는 독특한 춤이 있는데, 우리 는 이를 <접시춤>이라고 부른다. 예기무가 화재로 지정되었지만 역사와 이론적인 배 경의 설명이 매우 약하다. 최근에 중국조선족과 북한의 무용전문도서를 볼 수 있어 중 국조선족과 북한에서도 접시춤을 춘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중국조선족의 <접시 춤>은 회갑연과 경축날 여성 군무형식으로 춤을 추고 북한의 <접시춤>은 조선시대 추어졌던 <향발무>의 모습에서 창안되어 만들었다고 전해진다. 조선족 거주 지역과 북한은 중국과 소련 등 인접 국가와의 경계선의 지역으로 주변에 몽골 여진족 한족 등 이 거주한다. 중국 몽골족의 <충완무: 그릇을 머리위에 올려 놓고 추는 대표적인 춤) 과 연관성이 있다고 보았다. 한국의 <접시춤>은 박금슬 무용가가 대구기생인 정소산 과 전라도 정자산으로부터 배워서 1968년 김광숙에게 전수했다. 3개국의 <접시춤> 은 각각 달랐지만 <접시춤>이 갖고 있는 춤의 의미는 존경과 생명, 축복의 의미를 담고 있다고 보았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한민족의 <접시춤>
1) 중국 조선족 <접시춤>
2) 북한의 <접시춤>
3) 한국의 <접시춤>
Ⅲ. 결론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신명숙 Shin, Myung-sook. 대진대학교 창의미래인재대학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