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한류의 원조 ‘최승희 무용’ VR 콘텐츠 개발연구 - 쟁강춤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Study on the Development of VR Contents for ‘Choi Seung-Hee Dance’ in the Korean Wave - Focusing on the jaenggang dance -

이영란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ims to re-examine Choi Seung-hee and secure our dance cultural assets to discover novel and interesting cultural and educational content about Korean traditional dance from a global perspective. Based on books and research as done so far, this researcher aims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dance education by re-creating Choi Seung-hee’s Jaenggang Dance through VR. Traditional dance performances are based on a temporally spatially separate relationship called ‘Dancer-Audience’. In this one-way dance viewing form, the audience could not appreciate the detailed facial expressions or movements of the dancers participating in the performance. However, by introducing virtual reality technology such as VR a Jaenggang dance performance contents shooting on stage and appreciation through headgear (HMD) in VR environment into dance performances, one can experience a higher sense of immersion and realism through three-dimensional viewing experience. With this new level of technology, learners will have the opportunity to expand their vivid experience with dance and their rich understanding and knowledge of the work. To this end, this study uses VR-based dance performance content planning, filming, and production techniques after consultation between dance performance experts and three VR experts based on analysis of the meaning of VR technology and content research combined with ICT and dance performance. Choi Seung-hee’s “Janggang Dance” can be produced with VR contents and provided with an opportunity to understand dance movements through close-range viewing and experience the sense of realism before the performance so that viewers can experience similar experiences. In particular, it is also valuable as a preview for performance marketing before dance performances or as a video product that can be kept as an archive after performances. The production of dance performance contents using devices such as VR provides an opportunity to familiarize the public with dance and dance performances. If one of the benefits and goals of the convergence of arts such as SW and VR camera HW technology, and dance performances such as Kolor Autopane Video Pro, Adobe After Effects, popularization and cultural enrichment through non-field dance performance, Choi Seunghee’s VR dance content will be an important educational attempt.

한국어

본 연구는 최승희에 대한 재조명과 우리무용 문화자산을 확보하여 국제적 관점에서 한국의 전통무용에 대한 참신하고 재미있는 문화 교육용 콘텐츠를 개발하는 데 목적 이 있다. 본 연구는 그간의 저서와 연구를 바탕으로 최승희 대표 무용 중 “쟁강춤”을 VR 콘텐츠로 제작하여 무용교육의 발전에 기여하고자 한다. 기존의 무용공연은 ‘무용 수-관객’이라는 시․공간적으로 분리된 관계를 바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일방향적인 무용 관람 형태에서는 무용공연에 출연하는 무용수의 세밀한 표정이나 동작에 대한 관객의 구체적인 감상이 이루어질 수 없었다. 그러나 VR(가상현실)기술을 무용공연에 도입함으로써 현재의 평면적인 관람을 넘 어서 무대 위에서의 입체적인 관람 경험을 통해 더욱 높은 무용수의 세밀한 동작과 표 현력과 몰입감과 현장감을 체험할 수 있다. 이러한 새로운 차원의 기술 도입으로 학습 자들은 무용에 대한 생생한 경험과 그리고 작품에 대한 풍부한 이해 및 지식을 확장할 수 있는 계기를 갖게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무용공연에서 VR 기술의 의미와 ICT와 무용공연이 결합된 콘텐츠 연구에 대한 분석을 토대로 최승희 무용을 배웠고 가르치고 있는 무용공연 전문가와 VR 전문가 3인이 참여한 전문가 협의의 과정을 거 쳐 쟁강춤 공연을 VR 4면(front, side, back, center)을 촬영하여 그 기반으로 무 용공연 콘텐츠 기획, 촬영, 제작기법을 사용하였다. 최승희 무용 “쟁강춤”을 VR 콘텐츠로 제작은 현장에서 관람하는 무용공연과 유사 한 체험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무용동작 이해, 공연 전 현장감을 체험하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무용공연 전에 공연 마케팅을 위한 프리뷰(preview) 혹은 무용 공연 후에 기념으로 소장될 수 있는 무용 VR콘텐츠(Contents)영상 상품으로서도 가 치가 있다. VR과 같은 기기를 활용한 무용공연 콘텐츠의 제작은 무용과 무용공연을 대중에게 친숙하게 할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해준다. Kolor Autopane Video Pro, Adobe Premiere, Adobe After Effects 등 SW와 VR 카메라 HW기술 그리고 무 용공연이라는 예술의 융합이 가져올 수 있는 혜택과 목적 중 하나가 비현장 무용공연 관람의 현장감 향상을 통한 대중화와 문화융성이라 한다면, 최승희 “쟁강춤” VR 무용 콘텐츠는 무용을 전공하고자 하는 교육용으로 중요한 시도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목차

Ⅰ. 서론
Ⅱ. 연구의 내용 및 방법
Ⅲ. 연구결과의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
Ⅳ. 결론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이영란 Lee, Young-Ran. 숙명여자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