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위험 수치 제시 형식과 단위가 코로나 19 예방 행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 : 심리적 거리감과 부정적 감정의 매개 효과 및 구성원 효능감의 조절효과 분석

원문정보

The Impact of Number Formats and Time Frames on the Intention to Adopt COVID-19 Preventive Behaviors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Psychological Distance and Negative Emotions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Collective Efficacy

오지현, 김영욱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examines how different number formats (absolute frequency vs. ratio) and time frames (a day vs. a month) adopted in reporting news about COVID-19 affect preventive behaviors of public. It also investigates the mediating effects of psychological distance and negative emotion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collective efficac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direct effects of number format and time frame on preventive behaviors are not significant, but psychological distance completely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time frame and preventative behaviors. Also, the serial mediation effect from psychological distance and negative emotion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collective efficacy were significant. Especially, using the one-day time frame instead of one-month time frame negatively predicted psychological distance, and psychological distance negatively affected negative emotion and finally negative emotion positively predicted preventative behavior. Also, the serial mediation effect of psychological distance and negative emotion between time frame and preventative behavior was only significant when collective efficacy is high. The study extends theoretical discussions on risk communication during COVID-19 and suggests practical implications.

한국어

본 연구는 코로나19 확진자 보도에서 위험 수치를 제시하는 형식(절대적 vs 상대적)과 제시 단위(일단위 vs 월단위)가 공중의 예방 행동 의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했다. 또한 이 때 심리적 거리감과 부정적 감정의 매개효과와 구성원 효능감의 조절효과가 있는지 검증하고 자 하였다. 연구 결과, 코로나19 보도 메시지의 위험 수치 제시 형식과 제시 단위 프레임이 예방 행동의도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은 유의미하지 않았지만, 제시 단위 프레임이 예방 행동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심리적 거리감은 완전 매개 효과를 보였고, 심리적 거리감과 부정적 감 정의 순차적 매개 효과와 구성원 효능감의 조절효과 또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일단위 프레임은 심리적 거리감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이 과정을 통해 발생한 부정적 감정 은 예방행동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구성원 효능감이 높은 경우에만 위험 수치 제 시 단위 프레임이 예방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심리적 거리감과 부정적 감정의 순차 적 매개 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코로나19 위험 커뮤니 케이션 분야의 이론적 논의를 확장하고 이와 관련된 실무적 함의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목차

요약
1. 서론
2. 문헌연구
1) 위험수치 제시 형식
2) 위험수치 제시 단위
3) 심리적 거리감의 매개 효과
4) 부정적 감정의 매개 효과
5) 심리적 거리감에 따른 감정반응
6) 구성원 효능감의 조절효과
3. 연구 방법
1) 실험설계 및 절차
2) 실험메시지 구성
3) 주요 변인의 측정
4) 분석방법
4. 연구 결과
1) 실험 조작 점검과 주요 변인 간 상관관계
2) 위험 수치 제시 형식과 제시 단위가 예방 행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
3) 심리적 거리감의 매개효과 분석
4) 부정적 감정의 매개효과 분석
5) 심리적 거리감과 부정적 감정의 순차적매개효과 분석
6) 구성원 효능감의 조절 효과 분석
5.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오지현 Jihyeon Oh.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커뮤니케이션미디어학과 박사과정
  • 김영욱 Yungwook Kim. 이화여자대학교 커뮤니케이션미디어학부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