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OECD 사적연금의 장기적 성과분석

원문정보

An Analysis for the Longterm Performance of Private Pension Funds in OECD Countries

김병준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is paper, I analyzed effects of various explanatory variables including fund internal factors, macroeconomic factors, and asset market factors on the real investment returns of the private pension funds from 27 OECD countries during the sample period of 2008 to 2019 using panel data regression framework. Major findings are summarized as bellows. Primarily, growth of private pension assets and equity weights of the invested funds are shown to affect positively to the real performance of the pension funds with some exceptions in the chosen models of panel data regression procedures. The degree of pension fund maturity chosen as pension fund asset to GDP ratio is shown to have a strong positive role in accelerating fund performance in the all adopted econometric models, ensuring economies of scale. Secondly, among the 4 macroeconomic variables closely related with pension funds, elderly population has a negative influence on the real profitability of private pension funds which is contradictory to the prior research that elderly population has rather a motivating than discouraging effect on the world major 6 big public pension performance by Kim, Cin, and Jeong(2020). Contrary to the prior expectations real economic growth is also shown to have a negative impact on the real performance of private pension assets, which can be explained as such that excessive financial deregulation and household credits together with the boom in the capital market can be obstacles to the overall economic growth as shown in Cournede and Denk(2015). Household debt is shown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fund performance which is also opposite from the general expectations but similar to Cournede and Denk(2015). Inflation is shown to be negative which can be said although trivial. Finally, among asset market variables domestic and world stock performances have the strongest positive impacts on the private pension fund market returns and the domestic long-term bond yield turns out to be negative as expected.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2008~2019년간의 연간 시계열자료를 바탕으로 27개 OECD 회원국에서의 사적연금의 장기적 성과분석을 패널자료 회귀분석을 통하여 시행하였다. 전체표본기간과 글로벌금융위기국면을 제외한 소표본기 간의 분석을 통틀어 나타난 결과를 종합하면 설명변수로 선정된 3개 펀드내부요인 중에서는 기금성장률과 주식투자비중이 대부분 정(+)의 영향을 보였고 연금시장 성숙도를 나타내는 GDP 대비 펀드규모는 3개 변수들 중 가장 강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거시경제변수들 중에서는 경제성장률 및 인플레이션이 각각 유의미한 부(-)의 영향을 보였고 GDP 대비 가계부채비중은 정(+)의 영향력을 나타났으며 노년인구비중의 경우 전체표본기간에서만 유의한 음(-)의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자산시장요인으로 채택 된 변수들 중 국내주가 및 세계주가는 성과에 양(+)의 영향을 미쳤고 국내 장기채권수익률은 부분적으로 음(-) 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사적연금의 성과에서는 금융자산 수익률이 직접적으로 긍정적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자산규모에 대한 규모의 경제 효과가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노년층 인구비중의 확대가 연금자산의 유출을 통해 성과가 악화된다는 부정적 고령화 효과는 부분적으로 전체표본기간을 통해서 만 관측되었다. 경제성장률과 가계부채비율에서 나타난 사전 예상과 다른 결과는 금융부문의 과도한 팽창이 규제완화를 통한 가계신용의 확대로 이어지고 결과적으로 자본시장의 호황을 지속하게 해주었으나 OECD 국 가들에서의 이러한 현상은 결국 실질성장률에 부정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실질경제 성장과는 반대로 금융부문에서의 가계부채의 확장은 금융자산가치의 상승과 궤를 맞추어 발생하고 이러한 결과는 사적연금시장의 성과를 견인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 론
Ⅱ. 선행연구
Ⅲ. 표본자료와 기초통계량 분석
3.1 표본자료
3.2 기초통계량 분석
Ⅳ. 추정모형
Ⅴ. 실증분석결과
5.1 전체 표본기간
5.2 금융위기국면 제외 소표본기간
Ⅵ. 결론 및 시사점
6.1 연구결과 및 이론적 시사점
6.2 기업경영에 대한 실무적 시사점
6.3 연구의 한계점과 추후 과제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병준 Kim, Byoung Joon. 강남대학교 실버산업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