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The Effects of Levels of Risk Perception on Preventive Behavioral Intent : Examining the Moderating Effects of Self, Response, and Collective Efficacy
초록
영어
In health communication research perceived risk and efficacy beliefs are thought to be significant concepts. This study aimed to explore whether risk perceptions could affect preventive behavioral intent according to the levels of efficacy beliefs variables by categorizing risk perceptions into the personal vs societal level. Past research focused on the contents, types, and programs of media and communication regarding risk perception. However, the study examined whether the personal- and societal-level risk perceptions of TB on preventive behavioral intent could be moderated by the personal and collective level of efficacy beliefs. To this end the study used a survey method with a convenience sample of undergraduate students in Korea. Results found that the effect of societal-level risk perception on the TB preventive behavioral intent would be more likely to occur than the personal-level risk perception, while both self and response efficacy beliefs significantly affected the behavioral intent. Moreover, hierarchical moderate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revealed that the impact of personal-level risk perception on the behavioral intent was not moderated by self and response efficacy, whereas the impact of societal-level risk perception was significantly moderated by collective efficacy. That is, for those with high perceived collective efficacy, the societal-level risk perception is more likely to affect the preventive behavioral intent, compared to those with low perceived collective efficacy. The study suggest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that health communication scholars and practitioners should more effectively utilize risk perceptions and efficacy beliefs to develop infectious diseases prevention campaign strategies. In particular, they need to figure out the proper level of efficacy beliefs of campaign target audiences by identifying the personal- and societal-level risk perception.
한국어
헬스커뮤니케이션에서 위험인식 및 효능감은 예방행동을 결정짓는 주요 개념들이다. 본 연구에서는 위험인식의 두 가지 수준을 분류하여 각 위험인식이 효능감 변인들의 수 준에 따라 예방행위 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기존의 연구들은 위험 인식을 둘러싼 미디어·커뮤니케이션의 내용, 유형, 프로그램 등에 초점을 두었다. 그러 나 본 연구는 결핵에 대한 개인적·사회적 수준의 위험인식이 예방행동 의도에 끼치는 영향력이 개인적·집단적 수준의 효능감에 의해 조절되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편의표집된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를 통해 사회적 수준의 결핵 위험인식이 개인적 수준의 결핵 위험인식보다 예방행위 의도에 더 큰 영향 력을 확인하였으며, 자기·반응집단 효능감 모두 예방행위 의도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입 증하였다. 위계적 다중조절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예방행위 의도에 대하여 개인적 수준의 위험인식이 미치는 영향력은 자기·반응 효능감에 조절되지 못함을 검증하였다. 그러나 예방행위 의도에 사회적 수준의 위험인식이 미치는 영향은 집단 효능감에 의해 조절되는 경향을 밝혔다. 즉, 집단 효능감이 높은 집단은 그렇지 못한 집단보다 사회적 수준의 위 험인식이 예방행위 의도에 더욱 영향을 끼칠 수 있다. 본 연구의 이론적·실무적 시사점 은 헬스커뮤니케이션 학자들과 실무가들이 감염병 예방 캠페인 전략 개발에 위험인식 및 효능감을 보다 효과적으로 사용해야 한다는 사실이다. 특히, 위험인식의 개인적·사회적 수준을 이해함으로써 각 수준에 맞는 캠페인 타겟층의 효능감을 파악해야 할 것이다.
목차
1. 서론 및 문제제기
2. 이론적 배경
1) 지각된 위험인식 : 개인적 수준과 사회적 수준
2) 지각된 효능감 : 개인적 수준과 집단적 수준
3. 연구 방법
1) 설문 참여 대상 선정 및 수집
2) 연구변인 및 측정방법
4. 연구 결과
1) 응답자 특성
2) 주요 변인의 상관관계
3) 연구문제 및 연구가설 검증
5. 논의 및 함의점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