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코로나19 관련 언론 보도 프레임 분석 : 자료기반 자동화 프레임 추출 방법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Analyzing News Frames in the Coverage of COVID-19 : Data-driven Approach to Frame Analysis

조민정, 이신행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nalyzed news frames extracted from the coverage of COVID-19 in South Korea. In particular, we investigated how major newspapers reported the pandemic situation as a leading participant in risk communication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and role of the news media in the national disaster. First, based on previous studies about risk reporting, six news frames were identified a priori. Next, we applied structural topic modeling to a corpus of 64,702 COVID-19 related articles for six months from January 20, 2020, to automatically extract their underlying themes. These themes were, then, classified into the pre-defined set of frames to trace and compare the extent to which each frame was emphasized over the five periods divided by the risk development of COVID-19. Furthermore, the semantic network analysis was used to explicate how the thematic elements of news frames were organized during the different phases of the pandemic. Using this mixed-method approach to frame analysis, we explored the emphasis frame of the COVID-19 related news coverage and its periodic characteristics in terms of the underlying themes. This study not only demonstrates the changing pattern in news frames emphasized by the news media over the periods of national risk development, but also presents a complementary approach to automated frame analysis using structural topic modeling and semantic network analysis to discuss its implications.

한국어

본 논문은 코로나19 확산이라는 위험 상황을 보도해 온 국내 주요 일간지의 프레임 분석에 관한 것이다. 특히, 위험 커뮤니케이션의 주요 참여 주체인 언론이 장기간 지속 되고 있는 코로나19를 어떠한 시각과 방식으로 보도해 왔는가를 분석하여 국가적 재난 상황에서의 언론 보도의 특징과 역할을 진단했다. 우선,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위험 보 도에서 보편적으로 발견되는 6가지 뉴스 프레임을 선정하고 구조적 주제모형으로 2020 년 1월 20일부터 6개월간 64,702개의 코로나19 관련 기사로부터 잠재적 주제를 도출했 다. 이후, 인간 코딩 방식의 내용분석으로 도출된 주제를 프레임 정의에 따라 유목화하 고 코로나19의 위험 전개를 5시기로 구분하여 각 프레임의 출현 정도를 추적하고 비교 했다. 그리고 시기별 특성과 맥락을 고려하여 프레임을 구성하는 주제적 특성들이 어떠 한 내용적 의미 관계를 구성하며 변화해가는지를 의미연결망 분석으로 파악했다. 이러 한 혼합적 연구방법으로 코로나19 관련 보도에서 두드러지는 프레임과 그 내용적 특성 이 시기별로 달라지는지를 탐색했다. 본 논문은 국가적 위험 상황의 전개 상황에 따라 이를 보도하는 언론이 강조하는 프레임의 내용적 변화 양태를 보여줄 뿐만 아니라 자료 기반 자동화 프레임 추출에 있어 구조적 주제모형과 의미연결망 분석의 상호보완적 방 법을 제시하고 그 함의를 논의하였다.

목차

요약
1. 서론
2. 이론적 논의
1) 위험 커뮤니케이션의 주요 모델
2) 프레이밍 이론과 뉴스 프레임
3) 위험 보도에 관한 기존 연구
3. 연구 방법
1) 자료 수집
2) 자료 분석
4. 연구 결과
1) 구조적 주제모형(STM) 분석 결과와 프레임 도출
2) 의미연결망 분석 결과와 위험 커뮤니케이션 특성
5.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조민정 Cho, Minjeong. 중앙대학교 석사과정
  • 이신행 Lee, Shin Haeng. 중앙대학교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9,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