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인들의 Public Relations의 개념과 기능에 대한 인식 연구

원문정보

How Do the Public Perceive Public Relations on Its Image and Function?

조삼섭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study examined the general public’s perception on public relations image and its purpose. The study explored the public’s perception using open-ended questions instead of closed questionnaire to explore natural image on public relations. The results showed that public perceive as image making, self-promotion, packaging, management of corporate image, and persuasion when it comes to public relations. The most respondents equated advertising with public relations, did not distinguish them. Most perceived that the advertising and public’s role are the same in terms of function. The results suggest that general public’s perception on public relations differ from the theoretical definition in academia. The theoretical words such as two-way communication, control mutuality, organization-public relationship in public relations seem to be quite different from public’s perception. The public’s present perception on public relations seems to hinder the theoretical advancement on public relations in Korea. The study suggests that Korean public relations academia needs to activate open discussion on college department name, public relations curriculum, name of public relations professionals. Furthermore, the public relations scholars need to elaborate public relations definition, difference between public relations and Hong-Bo, organization-public relationship in Korea.

한국어

본 연구는 일반인들이 PR에 대하여 가진 일반적인 이미지나 목적을 설문조사를 통 하여 탐색하였다. 본 연구는 설문을 기존 이론이나 정의에 의한 폐쇄형 문항대신에 개 방형으로 질문하여 될 수 있으면 일반인들이 가진 인식을 실제적으로 탐색하였다. 조사 결과, 일반인들은 PR에 대하여 가지는 뉘앙스나 이미지는 대부분 자기PR 혹은 광고를 가장 먼저 떠올리고, 포장하기, 기업 이미지 제고, 설득을 떠올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결과 응답자들은 광고와 PR을 거의 동일시 하였고, 광고와 PR에 대하여 거의 구 분을 하고 있지 않았다. 일반인들은 PR을 널리 알리는 기능적인 역할에 주목하여 광고 와 PR은 거의 동일한 역할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 같은 결과는 일반인들이 가진 PR에 대한인지나, 지식은 이론에서 정의하는 것과 는 많이 다름을 나타낸다. PR의 이론적 정의에서 강조하는 요소로 볼 수 있는 쌍방향 성, 상호 호혜성, 조직-공중 관계성과 같은 근본적인 개념과는 상당히 거리가 있는 결 과로 볼 수 있다. 이같이 일반인이 가진 이미지와 인식은 향후에 PR이 국내에서 학문적 논의를 진행 해나가는데 부정적인 요소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고 할 수 있다. 학회차원에서는 각 대학의 학과명칭이나, 학과 커리큘럼, 정부, 기업의 홍보담당 관리자 명칭에 대하여 제 고할 수 있는 공론장을 활성화 시킬 필요가 있고 장기적으로 홍보, PR, 커뮤니케이션, 공중관계학의 정확한 개념적 정의를 학계에서는 마련해야 할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

목차

요약
1. PR, 홍보의 의미와 이미지
2. 문헌 연구
1) 허튼 (Hutton)의 PR 목적 분류
3. 연구문제
4. 연구방법
5. 연구결과
6. 토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조삼섭 Samsup Jo. 숙명여자대학교 홍보광고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