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정보 교과에 대한 영재 학부모들의 인식 조사

원문정보

A survey of gifted parents' perception of information subject

김갑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e knowledge and information society of the 21st century, information education is required in the U.S.A and the U.K. In Korea, information is only taught 17 hours in elementary schools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 survey on the perception of parents about software education is needed.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erceptions of gifted parents for information education. Among parents, 88.5% of parents responded that systematic information education from elementary school should be conducted, and at least 88.6% of them said that information education is necessary from the fourth grade, and 63.5% of parents responded 2 hours a week, 1 hour a week. 27.7% of parents responded. It can be seen that gifted parents who are very interested in education and high achievement of their children should teach two hours a week starting in the third grade of elementary school. Accordingly,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Act must be revised

한국어

21세기 지식 정보 사회에서 정보 교육은 미국, 영국 등에서 필수로 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2015년 개정 교육 과정에서 정보를 초등학교에서 17시간만 가르치고 있다. 이 개정 교육과정에서 소프트웨어 교육에 대한 학부모 들의 인식조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영재교육 대상자들로 선발된 학부모들의 정보 교육에 대한 인식을 조 사한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정보 교육이 초등학교에서부터 꼭 필요하다고 응답한 학부모는 96.9%이다. 학부 모 중에 체계적으로 초등학교 때부터 정보 교육을 88.5%는 실시해야 한다고 응답하였고, 4학년부터 최소한 88.6%는 정보 교육이 필요하다고 하였고, 일주일에 2시간을 응답한 학부모는 63.5%이고, 일주일에 1시간을 응답 한 학부모는 27.7%이다. 교육에 관심이 많고 자녀의 성취도가 높은 영재 학부모들은 초등학교 3학년부터 주 2시 간을 교육해야 한다는 것을 볼 수 있다. 이에 초·중등교육법 시행령은 반드시 개정되어 정보가 교과로 들어가야 한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연구방법 및 기본 통계
2.1. 연구대상 및 조사 기간
2.2. 기본적인 통계
3. 연구결과
3.1. 기본 설문 분석
3.2. 차이 분석
4.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갑수 Kapsu Kim. 서울교육대학교 컴퓨터교육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