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배뇨곤란 대상자 사례기반 교육이 간호 대학생의 단순도뇨 지식, 단순도뇨 자신감 및 단순도뇨 술기능력에 미치는 효과

원문정보

The Effect of Scenario-Based Education for Patients with Difficulty Urination on Nelaton Knowledge, Nelaton Confidence and Nelaton Catheterization Skill Ability of Nursing College Students

안준희, 황은숙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scenario-based education for patients with difficulty urination on nelaton knowledge, nelaton confidence, and nelaton catheterization skill ability of nursing college students. The data for this study were collected from May to June 2019, and were conducted for the third grade nursing students located in J city.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used in 75 junior nursing college students subjects who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37 and the control group 38.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rough the X2-test, independent t-test and paired-te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nelaton confidence(t=4.60, p<.001), nelaton catheterization skill ability(t=3.46, p=.001). But scenario-based education was found to be insignificant in the nelaton knowledge of nursing students. Difficulty urination scenario-based education can be used as an effective educational intervention to improve nelaton confidence and nelaton catheterization skill ability. However, in nelaton knowledge, it is necessary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 through additional research.

한국어

본 연구는 배뇨곤란 환자 사례기반 교육이 간호 대학생의 단순도뇨 지식, 단순도뇨 자신감 및 단순도뇨 술기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연구이다. 본 연구의 자료는 2019년 5월에서 6월까지 수집하였으며 J시내에 위치한 간호대학생 3학년을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간호 대학생 75명을 실험군 37명과 대조군 38명으로 구성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X2-test, independent t-test와 paired-test를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단순도뇨 자신감(t=4.60, p<.001)과 단순도뇨 술기능력 (t=3.46, p=.001)에서 유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사례기반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단순도뇨 지식에서는 유의 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배뇨곤란 사례기반 교육은 단순도뇨 자신감, 단순도뇨 술기능력 향상에 효과적인 교육 중재로 사용 될 수 있을 것이지만 단순도뇨 지식에서는 추가적인 연구를 통하여 교육의 효과에 대한 검증이 필요할 것이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1.2 연구의 목적
1.3 연구의 가설
2. 연구방법
2.1 연구설계
2.2 연구대상
2.3 연구도구
2.4 배뇨곤란 대상자 사례기반 교육 프로그램
2.5 자료수집 및 윤리적 고려
2.6 자료분석
3. 연구결과
3.1 실험군과 대조군의 일반적 특성과 사전 측정변수에 대한 동질성 검증
3.2 배뇨곤란 대상자 사례기반 교육의 효과 검증
4. 논의
5.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저자정보

  • 안준희 Jun-Hee Ahn. 군장대학교 간호학과 조교수
  • 황은숙 Eun-Suk Hwang. 군산간호대학교 간호학과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