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重慶時期 大韓民國臨時政府의 對中國交涉과 중국의 대응

원문정보

Diplomatic Negotiations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in Chóngqìng with China and Chinese Responses

중경시기 대한민국임시정부의 대중국교섭과 중국의 대응

김영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For the Korean independence activists who were engaged in an independence movement against the Japanese occupation of Korea in foreign countries after the country lost its national sovereignty under Japanese imperialism, the perceptions and attitudes of the government and the people in their countries of residence towards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played a very important role in continuing such overseas activities. This is especially true in China where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was being more actively carried out for historical and geographic reasons. China’s awareness and support towards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showed a different pattern by stage. For a while even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in Chóngqìng, China, the Chinese support was limited, but following the occurrence of Shanghai Incident, the Chinese government's attention and support became much greater than previously. Yet, it still maintained a passive and fragmentary response as Japan’s influence could not be excluded.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which was founded in Chóngqìng, actively engaged in negotiations with China and succeeded in accomplishing not a few results. Among them, the first achievement was the foundation of the Korean National Army. However, its initial activities faced several challenges and limits as it was established independently from China due to a matter of subordination and authority to command. Instead of gaining a formal approval from China, the Korean National Army agreed to be subordinate to the Chinese Military Commission for 3 years and 6 months. For this reason, the Korean National Army failed to fulfill its function as the ‘troop for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The reasons for and background behind the failure of the international recognition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can be explored in multiple aspects. When China and the U.S. postponed their decision to give an official recognition to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or adhered to the non-recognition policy, the reasons they first put forward were ‘Does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have the qualification to represent the entire Korean people?’ and ‘division and lack of unity among Korean revolutionary parties’. While the U.S. did not recognize it mainly for the first reason, China, i.e., Chiang Kai-shek, showed a reservation about the recognition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Korea, pointing out the ‘division among Korean revolutionary parties’. During the Sino-Japanese War, Chiang Kai-shek took notice of division and conflicts among Korean revolutionary parties and made considerable efforts to encourage them to achieve consolidation and unity. Eventually, the hard work for unification led to the issuance of a joint statement by Kim Koo and Kim Won-bong and hosting of the ‘Conference for Unification of Seven Parties’. In the process of facilitating consolidation and unification among Korean revolutionary parties, Chiang Kai-shek asked them not to insist on focusing assistance on certain parties but later changed his stand, saying that the Korean Independence Party and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Korea should be the center of assistance and support. Such changes in his stance are interpreted to have come from his strategy to “compel” Korean revolutionary parties to gain unification by changing technical methods such as concentrating whole support on the Korean Independence Party and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Korea, judging that it is difficult for them to achieve unity of ideas in a short period of time.

한국어

일제에 의해 국권이 상실된 뒤 해외에서 활동한 독립운동자들에게 있어 거주국 조야 의 한국독립운동에 대한 인식과 태도는 매우 중요하게 작용하였다. 다른 어느 지역보 다 앞서 활발하게 전개되었던 중국에서의 한국독립운동은 특히 그러하였다. 한국독립운동에 대한 중국의 인식과 지원양상은 단계별로 달리 표현되었다. 임시정 부 성립 후로도 한동안 중국의 지원은 제한적일 수밖에 없었다. 상해사변 발생 후 관심 과 지원이 이전에 비해 증대되었다. 그러나 일본요소가 강하게 작용하여 여전히 소극 적이고 단편적인 수준에 머물러 있었다. 重慶에 정착한 임시정부는 중국과 활발한 교섭을 진행 많은 성과를 거뒀다. 첫 번째 성과는 한국광복군 창설이다. 예속과 지휘권문제로 중국의 승인 없이 독자적으로 성립 되면서 초기 광복군 활동은 여러 제약에 부딪히게 되었다. 정식 인준을 획득한 대신 그 대가로 광복군은 3년 6개월간 군사위원회에 예속되어 ‘임시정부의 군대’로서 기능 과 역할을 다하지 못하였다. 임시정부 승인이 이루어지지 못한 원인과 배경은 여러 방면에서 찾을 수 있다. 중국 과 미국이 임정 승인을 유보하거나 불승인정책을 견지하면서 가장 먼저 내세운 이유가 ‘임시정부가 과연 전체 한인을 대표할만한 자격이 있는가’는 부분과 더불어 ‘한국혁명 진영의 분열과 불통일’이었다. 미국은 주로 첫 번째 이유를 들어 임시정부를 승인하지 않았다. 중국, 곧 장개석은 두 번째 ‘한국혁명진영의 분열’을 지적하며 임시정부 승인에 대해 유보적인 입장을 취하였다. 抗戰時期 장개석은 한국혁명진영의 분열과 갈등에 주목하고 통합과 단결을 촉진하 기 위해 상당한 노력을 기울였다. 한국혁명진영 통일 촉성의 결과물이 김구와 김원봉 의 공동성명 발표, ‘7당통일회의’ 개최 등이었다. 한국혁명진영의 단결과 통일을 촉성하는 과정에서 장개석은 “특정한 당파를 정하여 원조하는 것을 고집하지 말 것”을 주문하다 다시 “한국독립당과 임정을 지원과 지지의 중심대상으로 삼으라”고 지시하는 등 변화된 모습을 보여주기도 하였다. 단시간에 사 상방면에서 한국혁명진영의 통일을 이루기는 어렵다는 판단에서 한국독립당과 임정에 지원을 집중시키는 기술적 방법의 변화를 통해 ‘강제적’으로 한국혁명진영의 통일을 이루고자 하였던 것이 아닌가 싶다.

목차

Ⅰ. 머리말
Ⅱ. 광복군 예속권 교섭과 중국의 대응
Ⅲ. 한국혁명진영 분열상에 대한 중국의 인식과 대응
Ⅳ. 임시정부 승인 교섭과 중국의 대응
Ⅴ.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김영신 Kim Young Sin. 원광대학교 한중관계연구원 HK+연구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