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특집기획〉 조선통신사와 회화교류

17세기 후반 ~ 18세기 중반 통신사행 회화자료의 특성 연구

원문정보

Study on Paintings about Tongsinsa-Haeng during the late 17th - the mid-18th century

황은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ims to discover some historical meanings of the paintings exchange between Joseon and Japan through Tongsinsa, by exammmg the paintings and records about 7th(1 682) , 8th(l 71 1) and 9th(1719) Tongsinsa(the Korean envoy) dispatched from the late 17th to the early 18th century. Such paintings regarding Tongsinsa-Haeng, a foreign envoy, were not only mere art works, but also diplomatic measures. They also served as instruments of basic works for collecting data and accommodating civilized systems, with their functions as recording paintings and have a variety of values as historical materials( 밍料). The paintings have an organic correlation with envoy trips and they, as well as the remammg records about the envoy trips are also highly valued as historical materials with which the social interactions between Joseon envoys and Japanese personnel who welcome them. This study aUempted to understand the historical meanings of such painting materials and related records , about Tongsinsa-Haeng during the 1ate Joseon. dynasty, by using them as main historica1 materia1s and high1ighting them in terms of the history of cll1tura1 exchanges, rather than conducting an ana1ysis of the art history. For the Tongsinsa-Haeng, Jesu1gwan( 製述官) responsib1e for cu1tura1 exchange was new1y appointed and dispatched, and there were three Tongsinsa-Haengs: the 7th (Imsu1, 1682) envoy trip in which Pi1damchanghwajip were activ1y issued in Japan; the 8th (Sinmyo , 1711) in which 1arge paintings about parades on 1and and sea were created; and the 9th CGihae‘ 1719) in which the old custom of 1682 in the procedures for Tongsinsa dip10macy was recovered. In this climate, 18 pieces of paintings about Tongsinsa-Haeng have been created for 1ess than 40 years. Among them 11 pieces of recording paintings can be sub-divided into 4 paintings about parades on 1and, 4 paintings abollt parades on sea and 3 portraits for recording; 7 pieces of exchanging paintings into 2 Gosa portraits, 1 Hwajoyeongmo, 3 1andscape paintings and 1 Four Gracious P1ants. A11 of the recording paintings, which accounts for the highest ratio among a11 paintings can be found to document a 10t of contents regarding the parades of Tongsinsa and Joseon at that time , as they were created by Japan. Among the exchanging paintings, Jo Taeeok’s , a Gosa portrait, 1andscape paintings, Hwajoyeongmo and Four Gracious P1ants are gardening p1ants based on Sung Confucianism. In particular, the paintings with the themes of landscapes and reclusion could not be discovered in previous cnvoy trips , indicating that Sung Confucianism began to have an important effect on even the exchange of paintings. In addition, it is also valuable to note that the paintings created by Japan as presents for Joseon, such as Gano Hidebu’s , which describes the battle scene experienced by Minamoto Dametomo [源寫朝], a Japanese historic figure , have the themes of Japanese historic contents.

한국어

본 연구는 17 세기 맡기에서 18 세기 전반기에 파견된 7 차 1682 년, 8 차 1711 년, 9 차 1719년 통신사행을 대상으로 관련 회화 및 기록을 검토하여 통신사를 통한 조일 양국 회화교류의 역사적인 의의를 찾아보고자 한다. 외교사절이었던 통신사행 관련 회화는 단순한 미술작품이 아니 라 외교적 수단이기도 하고, 상호 감성의 교류 수단이기도 하며, 기 록화로서의 기능과 정보 수집, 문물제도 수용을 위한 기초 작업의 수단이가도 하여 사료(史料)로서의 다양한 가지를 지넌다. 통신사 관련 회화는 사행의 목적과 일정한 유기적 상호 관련성을 가지고 있으며 사행 당시 남겨진 기록들과 함께 조선의 사행단과 일본의 사행 접대 인사들의 교유를 살펴볼 수 사료로서의 가치도 높다. 조선후기 통신사행과 관련된 회화 자료와 관련 기록을 주요 사 료로 활용하여 미술사적인 분석이 아닌 문화교류사적인 측면에서 조명하고 그 역사적 의미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시기적 대상이 되 는 통신사행은 문화교류의 전담자로서 제술관(製述官)이 새롭게 편성되어 파견되고, 일본에서 펼담창화집이 본격적으로 간행된 7 차 1682 년 임술 통신사행, 대규모 육해상 행렬도가 제작된 8차 1711 년 신묘통신사행 통신사 외교 절차에 있어 1682년의 구례(舊 例)를 회복한 9차 1719년 기해 통신사행 3회의 통신사행이다. 이라한 분위기에서 40년이 채 되지 않은 기간동안에 제작된 통 신사행 관련 회화는 18 건이 파악되었다. 이 가운데 기록화는 11 점 으로 세부적으로 육상행렬도가 4 점, 수상행렬도가 4 점, 기록을 위 한 인물화가 3 점이다. 교류 회화는 고사인물화 2 점, 화조영모 1 점, 산수화 3 점, 사군자 1 점이 있다.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기록화는 모두 일본측에서 그린 것이어서 이 시기 통신사 행렬과 조선에 대 한 많은 내용을 기록으로 남기고자 했음을 알 수 있었다. 교류회화 가운데 고사인물화인 조태억의 〈기마도〉와 산수화, 화 조영모화, 사군자는 성리학에 기초한 화목이다. 특히 산수와 은일 을 주제로 한 그림은 앞선 사행에서는 볼 수 없었던 것으로 성리 학이 회화교류에 있어서도 중요하게 작용하기 시작한 점을 파악하 였다. 또한 가노 히데노부의 〈전제이 하치로[鎭西八郞]병풍〉은 일 본 역사 인물 미나모토 다메토모[源寫朝]의 전투장면을 담은 그림 으로 일본에서 조선에 선물하기 위해 제작한 그럼에 일본의 역사 내용을 주제로 한 점도 간과해서는 안 될 시사점이다.

목차

국문초록
1. 머리말
2. 1682년 임술(壬戌) 통신사행
3. 1711년 辛卯 통신사행
4. 1719년 기해(己玄) 통신사행
5.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황은영 Hwang, Eun-Young. 강원대학교 국학연구소 선임 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18,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