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학병세대와 군인정치의 시대 그리고 법적 정의 - 이병주 문학에 나타난 원한과 법의 문제 -

원문정보

The Student-Soldier Generation, the Age of Military Politics, and Legal Justice - The Theme of Law and Ressentiment in Lee Byung-ju's Works -

정주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discuss the social status of student soldiers who did not escape Japanese military ("non-escape student soldiers") at the end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student-soldier generation has played an important role as an elite class in many areas in Korean society and politics since the Independence in 1945. However, they were not free from suspicions that they had supported the Japanese army because they did not actively avoid or reject the military service in the Pacific War. Some student-soldiers were recognized for their patriotism because they ran away from the Japanese military camp. Others, most of the student soldiers, worried about their safety and so accepted their role in the camp. They had to face the criticism of serving the enemy for their survival, so then they had to suffer from self-consciousness as a "mercenary soldier or slave of enemy." This study examines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n Lee Byung-ju's works: the one who succeeded to escape from the Japanese military camp vs. the other who stayed in the camp. Lee was a member of the 'un-escape student soldier' group and his novels dealt with both the political desire and self-consciousness of the student-soldier generation. In particular, he was excluded from the social career due to the serious slip of the pen after the May 16 military coup. This event prevented him from realizing his political desires. The ressentiment from the experience as a student-soldier, combined with the oppression by the military power in the 1960s and 70s, led to creation of his novels.

한국어

이 글은 대한민국의 학병세대가 청·장년기 정치사회적 체험의 대부분을 군정(軍政)으로 접한 특수성을 갖는다는 점에서 출발한다. 일본군 복무기를 비롯하여, 미군정기, 5·16 군사정변에서 시작하여 제6공화국 출범기까지 지속되는 군부통치 기간을 감안하면, 도리어 이들에게는 민정(民政) 체제가 예외적인 것이 된다. 이병주의 문학은 학병세대의 체험에 근간을 두고 있지만 그 해석이나 종합은 1960년대의 정치사회적 시공간에서 이루어진다. 이 글은 학병 참전, 한국전쟁, 군사정변 등을 겪으며 ‘군’의 힘을 알고 믿게 된 지식인이 군정에 거리를 두고 비판하고자 할 때 나타나는 자기모순 및 이중성이 이병주 문학의 핵심이라 보고 있다. 이에 두 가지 논점을 통해 군인정치의 시대와 이병주의 문학이 결합하는 양상을 다루었다. 하나는, 일군 복무에 대한 자괴감을 표명하면서도 ‘비-탈출학병’ 집단이 갖는 도덕적·정치적 정당성을 대중적으로 설득하는 작업이 동시에 수행된다는 점이다. 다른 하나는, 5·16 이후 ‘군부 통치’ 비판에 적용되는 중립적 관점 특히 법제적 접근의 양가적 성격에 대한 논의이다. 법에 대한 비판은 체제의 핵심을 겨냥한 발화이지만 그와 동시에 원한을 직접 표현하지 않도록 해주는 자기정당화의 방식일 수 있다.

목차

요약문
1. 학병세대와 군인정치의 시대
2. 6·3세대를 향한 ‘비-탈출학병’의 정사(正史)쓰기
3. ‘죄 있으나 결백한 사람’의 이중성과 법적 정의
4. 이병주 문학에 나타난 원한과 법의 문제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정주아 Jung, Ju-A. 강원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