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The Effect of Collage Group Art Therapy Program on the Ego Resiliency Improvement of Workers with Emotional Labor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collage group art therapy program on the ego resiliency improvement of workers with emotional labor. The study subjects were 14 customer service representatives in the A hospital. The subjects were randomly assigned in half to either the control group or treatment group. The research period was from March 3rd to May 26th of 2020 and it was implemented once a week with 90 minutes in total of 12 times. The research method was the Korean Resilience Quotient (KRQ) and there was a qualitative analysis of pre and post results of tree tests. The results were the following. Firstly, the collage group art therapy program was effective in improving the total ego resiliency of workers and its sub-factors such as self control, relationships and positiveness, etc. Moreover, it was effective in the pre and post results of the Tree Test. Secondly, the group members displayed a behavior change of their ego resiliency during each sessional collage group art therapy program. Therefore, it was verified that collage group art therapy program positively affect the ego resiliency of workers with emotional labor and it also provided the grounds for the applicability of collage group art therapy and consultation related to emotional labor.
한국어
본 연구는 콜라주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감정노동자의 자아탄력성 향상에 미치 는 효과를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A병원에 근무하는 고객센터 상담원 14명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각각 7명으로 무선 배치하였다. 연구기간은 2020년 3월 10일부터 5월 26일까지 주 1회 90분씩 총 12회기를 진행하였다. 연구도구는 한국형 탄력성 검사 와 나무그림검사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사전·사후 양적분석과 회기별 변화과정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첫째, 콜라주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감정노동자의 전체 자아탄 령성과 하위요인인 자기조절, 대인관계, 긍정성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나무그 림검사 사전·사후 결과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집단원은 콜라주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의 회기별 과정에서 자아탄력성의 행동변화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콜라주 집단미 술치료 프로그램이 감정노동자의 자아탄력성 향상에 효과적임을 입증하였고, 감정노동자 관련 상담 및 콜라주 집단미술치료의 활용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목차
I.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문제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도구
3. 연구절차
4. 콜라주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
5. 자료처리
Ⅲ. 연구결과
1. 콜라주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감정노동자의 자아탄력성향상에 미치는 효과
2. 감정노동자의 자아탄력성 회기별 변화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