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디지털 미디어 동영상광고 도달률 예측모델 연구 : Youtube와 SMR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An Empirical Study of Forecasting Advertising Exposure model in Digital Media : Focusing on Youtube and SMR

이인성, 정진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o date, advertising exposure effect forecasting model has been studied mostly in the realm of TV. However with the increase of penetration rate of smart phones, importance of digital media has been rapidly increased recently. In accordance with this tide, measurement solution to adverting exposure effect in digital media has been needed in succession. In order to explore advertising effect of digital media, this study apply the advertising exposure effect forecast model on the realm of digital media. In the concrete, these two advertising exposure effect forecasting models have been suggested; individual model for Youtube – SMR(Smart Media Rep) and integrated model for Youtube – SMR. Reach of Youtube increased steeply which is in sharp contrast to the reach of SMR. Additionally prediction error range for the advertising exposure effect forecasting model was assessed less than 1%. For the integrated forecast model for Youtube – SMR, approx. 19.8% of reach from SMR coincide with Youtube’s, and approx. 11.4% of reach from Youtube coincide with SMR’s. The result of this study expected to contribute to establishment of advertising exposure effect forecasting model in the realm of digital for the first time and propose a methodology which can be utilized on practical business.

한국어

그동안 광고효과예측모델은 주로 TV매체에서 연구되었다. 그러나 스마트폰 보급률의 증가에 따라 디지털매체의 중요성은 급격히 높아졌고, 디지털매체에 적용가능한 광고효과예측모델이 필요해졌다. 앞선 배경에 의거하여 본 연구는 디지털매체 의 광고효과를 추정할 수 있는 모델을 제안한다. 구체적으로 GRPsReach 회귀모형 방식을 활용해 디지털 동영상 광고매 체인 Youtube와 SMR에 대한 도달률 예측모형을, 두 개의 이종매체 간의 통합광고 노출효과를 예측하고자 중복노출을 제거한 통합 도달률 예측모형을 함께 제시했다. 도달률 예측모델을 비교분석한 결과, 도달률에 영향을 미치는 Youtube의 GRPs의 영향력이 SMR과 뚜렷한 대조를 이루며 급격히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측모델의 예측오차의 규모는 1% 미만으로 확인되었다. YoutubeSMR 통합 예측모형의 경우 SMR로부터 도달 범위는 약 19.8%, Youtube로부터 도달 범 위는 11.4%로 각 도달 범위는 일치했다. 본 연구 결과는 최초로 디지털 영역에서 광고노출효과 예측모델 구축 기여는 물론, 실무적으로도 활용할 수 있는 방법론 구축에 유의미할 것으로 기대된다.

목차

요약
1. 서론
2. 광고도달률 예측모델 구축 방법론
1) 전통적인 광고도달률 예측모델
2) 디지털 매체에 적용 가능한 광고도달률 예측모델
3) 매체 간 중복노출 추정모델
3. 연구방법
1) 데이터 수집
2) 분석방법
4. 연구결과
1) 연구문제 1. Youtube/SMR의 개별 노출효과 예측모델은 어떠하며, 두 모델 간의 어떤차이가 존재하는가?
2) 연구문제 2. Youtube/SMR의 중복노출 추정모델은 어떠하며, 두 매체의 중복노출은 어떠한 패턴을 보이는가?
5. 결론 및 제언
1) 연구결과 요약
2) 본 연구의 학술적 함의
3) 본 연구의 실무적 함의
4) 본 연구의 한계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인성 Lee, Insung. DMC미디어 데이터RnD팀, 선임연구원
  • 정진완 Jung, Jinwan. DMC미디어 데이터RnD팀, 팀장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