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기획논문>

만당의 궁중음악과 정악의 연구 배경 및 개념 규정

원문정보

Mandang’s Court Music and Jeongak Study Background and Concept

최선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how Mandang(晩堂) Lee Hye-ku(李惠求) defined and used the concepts of gungjungeumak(宮中音樂: court music) and jeongak(正樂). Before giving lectures on Korean music at university, Mandang tried to introduce Korean traditional music, which is broadcast live, to listeners in an easy-to-understand manner by taking on the job of an staff of Kyungsung Broadcasting Station. He met Korean traditional music not as a musical heritage of the Joseon Dynasty (Korean Empire), but as current music and music for live broadcasting. Mandang, who is currently broadcasting Korean music, tried to understand the current Korean music through records of traditional music from the past. Mandang studied traditional Korean music by obtaining information about Korean music or collecting old sheet music and books related to Korean music. He purchased Akhakgwebeom (樂學軌範) and old Chinese books, and after reading Korean music studies published abroad by Maurice Courant, André Eckardt, and Gye, jeong-sik, he came to recognize Korean music as a branch of Eastern and Western music. The background of Mandang’s early research on Korean music also influenced his concept of gungjungeumak and jeongak. Mandang did not use the term gungjungeumak to categorize music from a specific period of Korean music history. However, the term court music was used as a contrast to minganeumak(民間音樂: outside court music) that appeared in the late Joseon Dynasty. Mandang not only used the concept of jeongak from a historical point of view, but also used it as a classical chamber music, similar to the western chamber sonata, in accordance with the current Korean music situation. Eventually, it was confirmed that his academic interest in the ‘presentity’ and ‘internationality’ of Korean music, which began in the days of Mandang’s Kyungsung Broadcasting Station, influenced his concept of gungjungeumak and jeongak.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만당 이혜구 박사가 궁중음악과 정악의 개념을 어떻게 정의하고 사용했는지 밝히는 것이다. 만당은 대학에서 국악을 강의하기 이전, 경성방송국 직원의 소임을 맡아 생방송으로 진행되는 국악을 청취자에게 알기 쉽게 소개하고자 하였다. 그는 국악을 과거 조선왕조(대한제국)의 음악 유산으로 만난 것이 아니라, ‘현행’ 음악이자 생방송용 음악으로 처음 만났다. ‘현행’ 한국음악을 방송하는 만당은 과거의 기록을 통해서 현재의 한국음악을 이해하려 하였다. 만당은 국악에 대한 정보를 얻거나 고악보와 국악문헌을 수집해서 직접 국악을 연구하였다. 그는 악학궤범과 중국 문헌을 구입해서 연구했고, 모리스 쿠랑, 안드레 에카르트, 계정식 등이 해외에서 발표한 한국음악 연구서 등을 접하며 동․서양음악의 한 분과로서 한국음악을 인식하게 되었다. 만당의 초기 한국음악 연구 배경은 그의 궁중음악과 정악의 개념 규정에도 영향을 미쳤다. 만당은 궁중 음악이란 용어를 사용해서 한국음악사의 특정 시기의 음악을 범주화하지 않았다. 다만 조선후기 등장한 민간음악의 대조어로 궁중음악이란 용어를 사용했을 뿐이다. 만당은 정악을 역사적 관점과 더불어 오늘날 한국음악 상황에 맞추어 서양의 실내 소나타와 유사하게 고전 실내악으로 개념 규정해서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만당의 경성방송국 시절부터 시작된 한국음악의 ‘현재성’과 ‘국제성’에 대한 학문적 관심이 그의 궁중음악과 정악의 개념 규정에도 영향을 끼쳤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목차

<국문요약>
Ⅰ. 머리말
Ⅱ. 만당의 궁중음악과 정악 연구 배경
Ⅲ. 만당의 궁중음악과 정악 개념 규정
Ⅳ. 맺는말
<참고문헌>

저자정보

  • 최선아 Choi, Sun-A. 서울대학교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