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Paradox structure and poetic shape
초록
영어
Paradox in poetry creation is a rhetoric method of one of the techniques the speaker conveys to readers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poetry, and irony and paradox are often used interchangeably in poetry creation. This was viewed from the point of view of contradictory language, and was unified in this paper as the term paradox. Paradox is a technique to accurately inform readers of the superficial truth through opposite sentences. In this project, a poetic recognition and truth delivery system that used opposing expressions to make them unfamiliar through the contradictions of the semantic structure appropriately fit the content was studied. At the beginning, the concept and meaning structure of the paradox were defined, and in the main body, through the development of poetry creation, the process of poetic shape, the creative effect of the paradox, the contradiction of interest, and the use of the poetic effect using fun were studied. The effective recognition of the paradox through the negative image and the concept of the opposite acted as a strong appeal through the logical psychological object. Paradox and irony have something in common that is established as contradictory expressions. This is because it is found in one category of etymology that is common in the category of life, and the efficacy and absolute value of the paradox of sentences are used as poetic language within the thorough norm of grammar. Paradoxes in literature are listed using phrases that contradict each other by the intention of the writer to effectively express them, and many use contradictory truths by applying expression methods in which the meanings of each other are contradictory. It is a delivery system for telling the truth in its own way by combining the two phrases for the effect of expression. The paradox focuses on the effect of the unfolding method in which the value changes according to the weight of use. The paradox is to effectively apply the manifestation of the truth through contradiction, since there is a contradiction that the reader may fall into confusion because it contains opposite meanings in relation to the object to which it is directed. It is a method of embodying the overall meaning through text and conveying it to different objects through relationality with the object by giving character to the object or by calling the object as a speaker rather than relying on itself. It shows the process of recognizing the consciousness system related to the duality of the paradox and using it as a basis for the backside of reality through the expression of contradictions. Chapter 3 of this paper examines the creative effect of the paradox that utiliz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etaphorical signifier and the nonorganism through the superficial and the disparate speakers, and through contradiction in the semantic structure using the text that separates the superficial and deep paradox The results of the use of contradictory contradictions through the lack of confrontational relations were expressed through poetry, and the results of a study on the use of paradox through contradictions that exclude truth through a sense of dissension were shown. A symbolic expression through reality or dramatic catharsis through fun was grafted into the text to achieve the extreme of fun. By narrowing the distance between the reader and the speaker through communication, we tried to inspire the meaning of creation through a paradox. The paradox tries to show the structural shortcomings of the absurd reality through contradictions. It is realized in the semantic and epistemological dimensions of language statements. As in theater and literature, artistic value is lost without audiences and readers, so this article reveals that paradoxical techniques are needed to maximize immersion.
한국어
시 창작에 있어 역설은 시가 가지는 특성 중 화자가 독자에게 전달하기 위한 기법 중 한 분야의 수사법이며 반어와 역설은 시 창작에서 자주 혼용 되어 쓰인다. 이것을 모순어법이라는 관점에서 바라보고 역설이라는 용어 로 본고에서는 통일시켜 사용하였다. 역설은 표면적 진실을 반대의 문장을 통하여 독자에게 정확하게 알리고자 하기 위한 기법이다. 반대 표현을 써서 의미적 구조의 모순을 통한 낯설게 하기를 내용에 적절하게 부합되도록 활용한 시적 인식과 진실전달 체계를 본 과업에서 연구하였다. 서두에서 역설의 개념과 의미구조를 정의하였고 본론에서 시 창작의 전개를 통해 시적 형상화 과정과 역설의 창작 효과와 이율배반적 모순활용, 재미를 활용 한 시적 효과를 연구하여 활용도를 고찰하였다. 여기에서 나타나는 부정적 이미지와 반대의 개념을 통한 역설의 효과적 인식이 논리적 심리대상을 통해 강한 호소력으로 작용하였다. 역설과 반어 는 모순된 표현으로 성립되는 공통점이 있다. 생활 속의 범주에서 흔히 나 타나는 어원의 한 범주에서도 발견되며 철저한 문법의 규범 속에서 문장이 가지고 있는 역설의 효능과 절대가치가 시적 언어로 활용되고 있기 때문이 다. 문학에 있어 역설은 효과적으로 표현하려고 작가의 의도에 의해 서로 모순되는 어구를 활용하여 나열하기도 하며 서로의 의미가 상치되는 표현 방식을 적용하여 모순된 진리를 많이 활용하기도 한다. 두 어구를 조합하여 표현상의 효과를 노려 나름대로 진실을 말하기 위한 전달 체계인 것이다. 역설은 활용 비중에 따라 가치가 변화되는 전개 방식에 의한 효과를 3장 에서 중점적으로 다루었다. 역설은 지시하는 대상과의 관계에서 서로 반대 되는 의미를 내포하므로 독자가 혼돈에 빠질 우려가 있다는 모순이 있기에 모순을 통한 진리의 발현을 효과적으로 적용하기 위함이다. 텍스트를 통해 총체적 의미를 구현해주고 대상과 관계성을 통한 서로 다른 상반된 개체로 의 전달이 묘사 대상에 스스로 의존하기보다는 대상에 인격을 부여하거나 대상을 화자로 불러와 함께 공감하는 방식이다. 역설의 이중성에 관계되는 의식체계를 인지하고 모순성 표현을 통한 실재의 이면을 토대로 활용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본고의 3장에서는 표면적 화자와 이면적 화자를 통한 비유 기표와 비유 기의 관계를 활용한 역설의 창작 효과를 살펴보았으며 표층적 역설과 심층 적 역설을 구분한 텍스트를 활용한 의미구조에서 모순을 통한 대립적인 관계성 결여를 통한 이율배반적 모순의 활용을 통한 결과치를 시를 통하여 표출해냈으며 괴리감을 통한 진실성이 배제되는 모순을 통한 역설의 활용 적 연구 결과를 보여주었다. 리얼리티를 통한 상징적인 표현이나 재미를 통한 극적 카타르시스를 텍스트에 접목하여 재미의 극치를 이루었다. 소통 을 통한 독자와 화자의 거리감을 좁혀 창작의 의미를 역설을 통하여 고취 시키고자 했다. 역설은 부조리한 현실의 구조적 단점을 모순을 통하여 보여 주려고 한다. 언어 진술의 의미론적, 인식론적 차원에서 실현되고 있다. 연극이나 문학처럼 관객과 독자 없이는 예술적 가치가 상실되기 때문에 몰입 도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역설의 기법이 필요한 존재로 부각됨을 본 논고 를 통하여 밝힌다.
목차
1. 머리말
2. 역설의 개념과 의미구조
3. 역설의 시적 형상화
4. 맺음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