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피인용수 : 0건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한국어
감염병 문제가 21세기 국제사회에 갈등의 원인으로서 강조 되고 있다. 이에 대한 국제사회의 관심과 협력이 요구되며, 세계 주요 지도국 인 G-20 국가를 중심으로 한 새로운 감염병 레짐(epidemic regime)의 형성이 요구되고 있다. 이제 감염병 확산과 관련한 국제사회의 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G-7 국가를 중심으로 한 G-20 국가의 역할이 가장 중요하다고 해도 과언이 아 니다. G-20 국가는 기존 강대국에 지역거점국가가 참여하는 형태의 레짐이며, 특히 감염병 등 보건안보 문제를 논의함에 있어서 그 역할이 기대되는 국가군 이다. 하지만 보건 관련 통계가 보여주듯이 G-20 국가 간의 인식 및 역량 격차 가 크다. 한국은 보건(안보) 역량을 갖춘 중견국으로서 G-20 내 간극을 연결하 는 중추 역할을 할 수 있다. COVID-19 사례는 국제사회에 하나의 과제를 제시 하고 있다. 강대국이 발병국이고 그 인식과 해법이 보건주권을 강조하며 국가 주의에 무게 중심을 둘 경우에 그 해결이 어려워진다. 따라서 향후 IHR 2005의 준수를 강제할 동아시아 지역차원의 감염병 레짐을 제도화할 필요가 있다.
목차
요약
Ⅰ. 국제사회의 새로운 분쟁원인으로서의 감염병
Ⅱ. 21세기 주요 감염병 사례와 영향 요인
1. 감염병 사례
2. 영향 요인
Ⅲ. 국제사회의 보건 현황과 감염병 협력
1. 보건 현황
2. 감염병 협력
Ⅳ. 현안 감염병 사례(COVID-19)와 동아시아 보건 협력
Ⅴ. 감염병 관련 한국의 보건 안보와 대응 방안
참고문헌
Ⅰ. 국제사회의 새로운 분쟁원인으로서의 감염병
Ⅱ. 21세기 주요 감염병 사례와 영향 요인
1. 감염병 사례
2. 영향 요인
Ⅲ. 국제사회의 보건 현황과 감염병 협력
1. 보건 현황
2. 감염병 협력
Ⅳ. 현안 감염병 사례(COVID-19)와 동아시아 보건 협력
Ⅴ. 감염병 관련 한국의 보건 안보와 대응 방안
참고문헌
저자정보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