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원격 음악 실기 교육에 대한 예비초등교사의 인식 조사

원문정보

A Survey of Preliminary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of Distance Music Practical Education

강스텔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firm the perceptions of preliminary elementary teachers about remote music practical education and to obtain educational implications through this. As a research method, 130 pre-service teachers taking music practical education classes were surveyed, task evaluations, and final evaluations to find out the degree of preparation, self-efficacy, and learning satisfaction for distance classes In conclusion, first, the instructor was able to adapt to the initial limitations, and confirmed the willingness to innovate. Second, the learners were ready and wanted a variety of high-quality educational contents, which confirmed that they should be prepared for various lectures. Third, one-on-one education was possible for non-face-to-face, and immediate feedback was possible, making it easier to exchange opinions, and responses to questions and feedback were expressed more diversely than in face-to-face. Fourth, the submission of the assignment was made as a video, and based on this record, each learner was motivated by self-confirmation of the way each learner makes efforts and accomplishments. More feedback and interest could maximize learning satisfaction through increased efficacy. Fifth, it is an opportunity to overcome the vulnerability of digital systems in schools in a short time. Efforts are being made to expand various infrastructures, and it is an opportunity to catch up with the distance education system that has been lagging behind over the years, as well as the development and interest in educational content. It is necessary to enhanc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n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innovative will and various contents as a suggestion, and it is interpreted as a case report.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원격 음악 실기교육에 대한 예비 초등 교사들의 인식을 확인하고 이를 통한 교육적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으로 음악 실기교육 수업을 듣고 있는 130명의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2회의 설문 조사와 과제평가 및 기말평가를 통해 원격수업에 대한 준비 정도와 자기효능감과 학습만족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결론으로는 첫째, 교수자는 초기 제한점에도 적응력이 높아지고, 혁신 의지를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학습자들은 준비가 되어 있었으며 다양하고 질 높은 교육 콘텐츠를 원하였고, 이는 다양한 강의 준비가 되어야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비대면은 1대1 교육이 가능하고, 즉각적인 피드백이 가능하여 의견 교환이 더욱 용이하였으며, 대면시보다 질문이나 피드백에 대한 반응이 다양하게 표출되었다. 넷째, 과제 제출이 동영상으로 제작하게 되어, 이 기록을 토대로 학습자마다 노력하는 모습과 성취를 이루는 모습을 스스로 확인하게 되어 동기부여를 얻게 되었다. 더욱 많은 피드백 및 관심은 효능감 상승을 통한 학습 만족도를 극대화할 수 있었다. 다섯째, 학교 내 디지털 시스템의 취약성이 짧은 시간에 극복될 수 있는 계기가 되고 있다. 다양한 인프라 확충을 위해 노력을 기울이고 있고, 교육 콘텐츠 개발과 관심뿐만 아니라 수년에 걸쳐 뒤처졌던 원격교육 시스템을 단시간에 따라잡을 수 있는 계기가 되고 있다. 제언으로 혁신의지 및 다양한 콘텐츠 개발이 필요하며, 사례 보고로 해석된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제고할 필요가 있다.

목차

국문초록
I.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원격교육의 의미와 현실
2. 교수자 및 학습자의 원격교육에 대한 선행 연구
Ⅲ.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절차
Ⅳ. 연구 결과
1. 강의 준비 및 교수 전략
2. 자기 효능감과 학습 만족도
3. 피아노 실기 과제평가
4. 음악실기 원격교육에 대한 개방형 질문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저자정보

  • 강스텔라 Kang Stella. 성신여자대학교 교육학과 박사과정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