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한국, 일본, 인도 중학교 영어 교과서의 문화적 요소 비교

원문정보

A Comparison of Cultural Elements in English Teaching Textbooks for Middle School Students among Korea, Japan and India

정찬홍, 김해동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ompare cultural elements in English teaching textbooks for third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among Korea, Japan, and India. The culture and reading sections of thirteen Korean, three Japanese, and two Indian English textbooks are analyz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Indian ESL (English as a Second Language) textbooks present more diverse countries than the Korean and Japanese EFL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textbooks. Second, the Indian ESL textbooks show a balanced proportion of cultural contents between ‘Big C’ and ‘small c’, whereas the EFL textbooks mainly contain contents relating to ‘small c’. Third, the EFL textbooks show a high percentage of Caucasians and the gender ratio in the ESL textbooks is unbalanced. The findings suggest that to amend the weaknesses of cultural elements in the Korean textbooks, English instructors need to teach the cultures of numerous countries and to handle cultural contents and races in a balanced way. Materials writers should develop more culturally balanced textbooks for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일본, 인도의 중학교 3학년 수준 영어 교과서의 문화적 요소를 비교하는 것이다. 해당 교과서는 EFL(외국어로서의 영어) 상황에서 사용되는 한국 13권과 일본 3권, ESL(제2언어로서의 영어) 상황에서 사용되는 인도 2권으로 각 교과서의 문화와 독해 영역이 분석의 대상이다. 각 영역에 대한 빈도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도의 영어 교과서는 한국과 일본의 교과서보다 더 다양한 국가를 제시하고 있다. 둘째, 인도 교과서는 ‘대문화’와 ‘소문화’의 문화 소재가 균형을 이루고 있는 반면에 한국과 일본의 교과서는 주로 ‘소문화’와 관련된 소재를 포함하고 있다. 셋째, 한국과 일본의 교과서는 인도 교과서에 비하여 백인 비율이 높고 인도 교과서는 한국과 일본의 교과서에 비하여 성별의 비율이 균형적이지 못하다. 본 연구 결과는 한국 영어 교과서에서 제시하고 있는 문화적 요소의 약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영어 교수자가 다양한 국가의 문화를 가르치고 문화 관련 주제와 인종을 균형 있게 다루어야 함을 시사한다. 더불어 교재 개발자는 우리나라 중학생을 위하여 문화 요소에 있어 균형 잡힌 교과서를 개발해야 한다는 점이다.

목차

국문초록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고찰
1. 문화 유형의 국가별 분류
2. 문화 유형의 내용별 분류
3. 인종, 성별 빈도 분석
III. 연구 방법
1. 분석 대상 영어 교과서
2. 분석 기준과 방법
3. 분석 평가자 신뢰도
Ⅳ. 연구 결과
1. 국가, 소재, 성별 및 인종 분포
2. 문화 소재 분포
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저자정보

  • 정찬홍 Chanhong Jeong.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생
  • 김해동 Haedong Kim.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