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영화 뮬란 메이크업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Makeup of the Movie Mulan

양지애, 임희경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Mulan character makeup and to determine whether the makeup of the period reflects the traditional culture through the analysis of Mulan's movies produced in the background of the Mulan Si story in the period of China's North and South Dynasties, the Sui Dynasty, and the Tang Dynasty. The research method is to analyze makeup images. Mulan's usual appearance at home, the appearance in the military, and the appearance of Mulan after wearing makeup were compared to the actual makeup of North and South Dynasties, the Sui Dynasty, and the Tang Dynasty. There are three works refer to the period makeup: the movie (2020), (2020), and the drama (1998). Two Mulan films, (2020) and the movie (2020) use makeup from the North and South Dynasties such as Eo Hwang-jang, Myeonyeop, and Sa Hong to create the character Mulan. (1964) is a work based on the makeup culture of the Tang Dynasty of the Sui Dynasty. Through this paper, hope to look forward to the development of Mulan-related movie works in the future, and at the same time, it is considered that the make-up production according to the periods will be helpful in the creation of movie when producing movie in the background of the North and South Dynasties, the Sui Dynasty, and the Tang Dynasty.

한국어

본 연구는 뮬란시 스토리의 중국 남북조시대와 수나라, 당나라시대를 배경으로 제작된 뮬란의 영상 작품 분석을 통해 뮬란 캐릭터 메이크업의 차이점을 분석하고 시대적 메이크업의 전통문화 반영 여부를 파악하는데 연구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메이크업 이미지 분석을 진행하며 뮬란이 평소 집에서 생활할 때의 모습, 군대에서의 뮬란의 모습, 뮬란이 메이크업을 한 뒤의 모습 3장면의 모습을 남북조, 수나라, 당나라시대의 실제 메이크업과의 비교 분석하였다. 시대적 메이크업을 참고한 작품은 영화 <뮬란>(2020)과 <화뮬란>(2020), 드라마 <화뮬란>(1998)등 3편이 있으며, <뮬 란>(2020)과 영화 <화뮬란>(2020) 두 편의 뮬란 영화가 어황장, 면엽, 사홍 등 남북조 시대 메이크업을 활용해 캐릭터 뮬란을 연출하고 있다. 수나라, 당나라 시대 메이크업 문화를 기본으로 한 작품은 <화뮬란>(1964)이 있다. 본 논문을 통해 향후 뮬란 관련 영상 작품의 발전이 있기를 기대하며, 그와 동시에 중국 남북조 시대와 수나라 당나라시대를 배경 으로 하는 영상물 제작 시 시대에 따른 메이크업 연출이 영상물의 창작에 도움이 될 것이라 사료된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1.1 연구 필요성 및 목적
1.2 연구 방법 및 범위
2. 이론적 배경 연구
2.1 뮬란 스토리
2.2 뮬란의 제작시기
3. 시대 메이크업
3.1 남북조시대 메이크업
3.2 수나라, 당나라시대 메이크업
4. 캐릭터 뮬란의 메이크업 분석
4.1 남북조시대 배경의 뮬란 메이크업 분석
4.2 수나라와 당나라시대 배경의 뮬란 메이크업 분석
4.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양지애 Jie Yang. 서경대학교 미용예술대학원 학생
  • 임희경 Hee-Kyung Lim. 서경대학교 미용예술대학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