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관광 및 주거지역 구분을 위한 건축용도별 색채 디자인에 관한 연구 - 한국 부산 흰여울문화마을의 건축 색채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Research on the Color Design by Building Use for the Classification of Tourism and Residential Areas - On Example of Building Color of Huinnyeoul Culture Village in Busan,Korea

장닝, 양즈치, 조잉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exterior color of the building reflects its style. With the advancement of the ‘Village Art’ project in South Korea, many villages have gradually developed into tourist attractions. Therefore, it is also important to distinguish between residents’ lifestyles and tourist needs through architectural color design. This article first investigates the literature and analyzes the use function of the building and the role of the exterior color in the villages. Secondly, the four types of buildings in Huinnyeoul Culture Village: residential, commercial, leisure, and public toilets are investigated as the research objects. Analyze through the KSCA color measurement analysis system and questionnaire survey, and propose a color plan for the exterior of the building. Research results: First, the main color area of the outer wall of the residential building should be the largest, with a tendency of high brightness and low saturation. Second, small buildings with high chroma in the recreation area can be used as visual guidance.Third, the buildings in the commercial area are mainly of high brightness, high chroma, and multi-hue. Fourth, the main color of the bathroom is the main color of the residential area and the leisure area, which can provide a sense of visual stability.

한국어

건축 외립면의 색채 디자인은 건축 스타일을 나타내는 중요한 표현이다. 국내에는 '마을예술' 프로젝트가 추진되 면서 많은 마을이 관광명소로 자리 잡았으며, 이 때문에 건축색채 디자인을 통하여 주민들의 생활 패턴과 관광객의 관광 수요를 가늠하는 것을 마을 건설의 중점이 된다. 본 논문은 먼저 문헌조사를 통하여 건축물의 사용기능과 외부색채의 향토적 역할을 분석하였으며, 부산 흰여울문화마을을 대상으로 주거건축, 상업건축, 레저구역건축과 공중화장실 등 4종 류의 건축물에 대한 현지 고차를 실시하고, KSCA 측색분석시스템, 설문조사를 통하여 건축물 외벽면의 색채계획을 제 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첫째, 흰여울문화마을의 건축물 외벽면의 주조색이 차지하는 면적은 가장 크게 증가시키며, 전체적인 통일성을 증진시켜 고명도, 저채도 색채의 경향으로 만족시켜야 한다. 둘째, 레저구역은 고채도의 소형 건축물 색채는 시각적 가이드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셋째, 상업 구역와 주거 구역은 색채의 차이가 비교적 크므로서 주조색 이 고명도, 고채도, 다색상의 색채범위를 취한다. 넷째, 공중화장실은 주조색은 주거지역, 레저구역의 주조색 범위를 위 주로 하여 시각적 안정감을 제공한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1.1 연구배경 및 목적
1.2 연구의 범위
2. 이론의 고찰
2.1 건축 사용 기능
2.2 건축 외부 색채의 특징
2.3 환경에서의 건축 외부 색채의 역할
3. 사례 연구
3.1 조사 분석 방법
3.2 설문 조사 내용
3.3 연구 대상지의 색채 추출 카테고리
3.4 색채 분석 결과
4. 색채 계획
4.1 기본방향 및 킨셉
4.2 건축 외부색채 계획
5. 결론

저자정보

  • 장닝 Zhang Ning. 부경대학교 마린융합디자인공학과 박사과정
  • 양즈치 Yang Ziqi. 부경대학교 마린융합디자인공학과 박사과정
  • 조잉 Zhou Ying. 부경대학교 마린융합디자인공학과 석사과정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