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대졸 청년층의 중소기업 선택동기가 첫 일자리 직업적응에 미치는 영향: 직장에서의 욕구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Effect of Motives for Choosing Small and Medium Business on Occupational Adaptation of College graduates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Need Fulfillment

이혜영, 강순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is study, the motivation of young college graduates to choose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for reasons of non-adaptation to their jobs was to focus on the phenomenon of dissatisfaction with their livelihood due to dissatisfaction with wage welfare levels, while the reason for voluntary turnover was to be revealed through ERG desire theory. To find out how the level of desire satisfaction in the current workplace between motivation for choosing a job and job adaptation affects,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existing literature was preceded and, based on this, empirical research was conducted with the GOMS data.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motivation for choosing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was found to have significant differences in both their desire for work and job adaptation, especially when choosing a job as their desire for livelihood, their job satisfaction and work satisfaction were the lowest than those who chose them as their desire for relationship or growth. Secon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impact of workplace choice motivation and desire alone on job preparation, the degree of turnover was 1.241 times higher when joining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as a growth engine. Third, the possibility of turnover increased by 1.293 times when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desire to live in the workplace increased by one notch. Fourth, the possibility of turnover decreased by 828 times when the work satisfaction level increased by one notch. In addition, it was shown that the reason for turnover increases 1.394 times as much as job satisfaction increases by one level, and the reason for turnover increases by 1.394 times. Fifth, if you look at the mediated effects of the desire family in the workplace in the context of workplace choice motivation and job adaptation, the following are: In the case of joining a small and medium-sized company to satisfy the desire for growth,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desire for relationship and the desire for growth in the workplace showed a static mediated effect, while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desire for living showed an amulet mediated effect. In the case of joining a small and medium-sized company to satisfy the desire for relations, if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desire for relations is high at work, the satisfaction level of work satisfaction and work satisfaction has also increased. The group that joined the company on the motive of their desire for a living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results. This study provides the following policy implications. First, the results show that the more motivated the SMEs are to be selected, the higher the job satisfaction and work satisfaction level, indicating the need to increase the clarity of job expectations for young college graduates who are willing to work for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Second, it is necessary to enhance measures to meet the desire for growth rather than monetary compensation as an inducement for the long-term service of the millennial generation joining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중소기업에 재직하는 밀레니얼 신입사원들의 직업부적응 원인에 대해 대졸 청년층의 중소기업 선택동기는 개인의 성장가능성, 대기업과 차별적인 직무경험 폭과 깊이 등 성장욕구인 반면, 자발적 이직사유는 임금복지수준의 불만족으로 생계욕구 불만족으로 나타나는 현상에 주목하고, ERG 욕구 이론을 통해 밝혀내고자 하였다. 직장 선택동기와 직업적응 간에 현 직장에서의 욕구만족도가 어 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내고자 기존 문헌들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선행하고, 이를 기초로 대졸자직업 이동경로조사(GOMS)자료를 가지고 실증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소기업 선택동기는 직장에서의 욕구만족도와 직업적응 모두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 로 나타났는데 특히 생계욕구로 직장을 선택한 경우, 관계욕구나 성장욕구로 선택한 집단보다 직장만 족도와 업무만족도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둘째, 직장선택동기와 욕구만족도가 이직준비 여부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성장동기로 중소기업에 입사한 경우 이직의도가 1.241배 높게 나타났다. 셋째, 직 장에서 생계욕구 만족도가 한 단계 상승하면 이직가능성이 1.293배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직장만족도가 한 단계 상승하면 이직가능성은 .828배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장만족도가 한 단계 증가할수록 이직을 준비하는 경우, 이직사유는 성장욕구인 경우가 1.394 배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직장선택동기와 직업적응 관계에서 직장에서의 욕구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성장욕구 충족을 위해 중소기업에 입사한 경우, 직장에서의 관계욕구 만족도와 성장욕구 만족도는 정적 매개효과를 보인 반면, 생계욕구 만족도는 부적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관계욕구 충족을 위해 중소기업에 입사한 경우, 직장에서 관계욕구 만족도가 높으면 직장만족도와 업무만족도도 높아졌 다. 생계욕구 동기로 입사한 집단은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은 정 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첫째, 중소기업 선택동기가 충족될수록 직장만족도 및 업무만족도가 높 아진다는 결과는 중소기업 취업의사가 있는 대졸 청년층이 중소기업 입사를 통해 무엇을 충족시키려고 하는지 입사기대의 명확성을 높일 필요성을 보여준다. 둘째, 중소기업에 입사하는 밀레니얼 세대들의 장기근속에 대한 유인책으로 금전적 보상보다는 성장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고하는 것이 필요하다.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2.1 직업선택동기와 직업적응에 관한 연구
2.2 ERG 욕구이론에 따른 직업선택동기, 욕구만족도, 직업적응 관계 연구
Ⅲ. 실증연구
3.1 가설 및 연구모형
3.2 연구대상
3.3 자료분석
Ⅳ. 실증분석 결과
4.1 응답자의 특성
4.2 측정항목의 타당성 검증결과
4.3 상관분석
4.4 가설검증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References)
Abstract

저자정보

  • 이혜영 Hye-young Lee. 경기대학교 대학원 직업학과 박사졸업
  • 강순희 Soon-hie Kang. 경기대학교 대학원 직업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