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각 국가(대륙)별 온라인쇼핑 해외 직접 판매액 : 미국, 중국, ASEAN, 일본, EU를 대상으로

원문정보

Online Shopping Overseas Direct Sales by each Country(Continent) : For the USA, China, ASEAN, Japan, EU

최수호, 최정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at the overseas direct sales of online shopping in Korea, and to find out the phenomenon of mutual synchronization and future progress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fluctuation rate of sales by country(continent). To this end, we collected data from KOSIS’ “Overseas Direct Sales of Online Shopping by Country(Continent)”. The analysis period used a total of 26 quarterly data from the first quarter of 2014 to the second quarter of 2020. We calculated analysis data using the rate of change compared to the previous quarter for each country (continent). In the first quarter of 2020, overseas direct sales of online shopping in Korea amounted to KRW 1.48855 billion, an increase of 18.8% compared to the first quarter of 2019. By country, China, ASEAN, and the United States ranked highest. By product, cosmetics, clothing, fashion, albums, videos, and musical instruments were the highest. Overseas direct purchase of online shopping was KRW 9793 billion, an increase of 8.1% from the previous year. By country, the order of the US, EU, and China was the most. By product, clothing and fashion, food and beverages, home appliances, electronics, and communication devices were the highest. In terms of Descriptive Statistics, the average since the first quarter of 2014 has increased by 10.1% in Total, 14.2% in China, 6.1% in ASEAN, 5.2% in the US, 4.9% in Japan & 2.9% in the EU. The standard deviation was calculated in the order of 24.9 in China, 24.5 in ASEAN, 20.7 in the EU, 19.5 in the US, and 17.9 in Japan, compared to Total 18.9. As a result, China has relatively stable volatility. As a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the correlation coefficient was calculated high in the order of China (0.97), EU (0.45), US (0.41), ASEAN (0.35), and Japan (0.31). Total showed a very high correlation with China, but showed a similar level of correlation with the EU, the US, ASEAN and Japan. As a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the coefficient of the dependent variable Total was 0.02 in the US, 0.67 in China, 0.06 in Japan, 0.06 in ASEAN, and 0.08 in the EU, showing an absolutely high number with China. Since 2014, it was judged that Total has been mostly affected by Chinese sales. Only China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Looking at the growth rate trend, as of the first quarter of 2014, China surpassed 3,000% (2019) and ASEAN surpassed 500% (2019). However, China and ASEAN rapidly declined in 2000 as consumption declined due to the corona19.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US, Japan, and the EU, it is maintained at a certain level without a large fluctuation between 100% and 250%. In the distribution chart analysis, Total and China are mainly distributed between -30∼40% and show similar shapes. In the Scatter Charts analysis, Total and China are going upward in a straight line, showing a very high level of synchronization. On the other hand, Total, the US, Japan, ASEAN, and the EU showed relatively little coordination because it was difficult to confirm their direction. In the impact response analysis, the impact of China on Total since 2014 is largely shown. Therefore, it seems that we need a lot of attention to change in China in order to increase the total in the future. It was found that China accounts for more than 85% of the total. When looking at the sales amount by product, it was found that most of the younger generations prefer cosmetics, clothing and fashion products, albums, videos, musical instruments, home appliances, electronics, and communication devices. Due to the recent Korean Wave, K-Beauty, K-Fashion, and K-Pop were judged to play a large role in online shopping sales. In order to steadily increase Korean overseas online shopping sales in the future, the following are necessary. First, the Korean Wave must continue to increase. Second, we need to make efforts to develop new markets including China, ASEAN, EU, the US, the Middle East, Oceania and Latin America. Due to the recent Corona 19, the proportion of online shopping in Korea and abroad is increasing. Therefore, we will have to work together to find countermeasures and effective solutions.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온라인쇼핑 해외 직접 판매액을 살펴보고 각 국가(대륙).별 판매액 의 변동률을 비교 분석하여 상호 동조화 현상과 향후 진행방향을 찾아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통계청 국 제통계포털의 “국가(대륙)별 온라인쇼핑 해외 직접 판매액”에서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기간은 2014년 1/4분기부터 2020년 2/4분기까지 총 26개 분기자료를 이용하였다. 각 국가(대륙)별 직전분기대비 변동률 로 분석 자료를 산출하였다. 지난 2020년 1/4분기 한국의 온라인쇼핑 해외 직접 판매액은 1조 4,855억 원으로 전년분기대비 18.8% 증가하였다. 국가별로는 중국, ASEAN, 미국 순으로 많았으며, 상품별로는 화장품, 의류・패션, 음반・비디 오・악기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온라인쇼핑 해외 직접 구매액은 9,793억 원으로 전년분기대비 8.1% 증가 하였다. 국가별로는 미국, EU, 중국 순으로 많았으며, 상품별로는 의류・패션, 음식료품, 가전・전자・통신 기기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온라인쇼핑시장은 세계적으로 매년 10% 이상 성장하고 있다. 한국은 무역 수출입액이 소폭 감소하는 가운데 온라인쇼핑 판매액은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한국은 중국으로 화장품과 의류 및 패션상품 등을 수출하고 음식료품을 주로 수입하고 있다. 최근 미국과 ASEAN, EU를 대상으로 온라인쇼핑 직접 판매 액을 점점 확대하고 있다. 향후 한국의 온라인쇼핑 판매액을 더욱 확대하기 위해서는 플랫폼구축, 정보 공유, 스마트물류, 금융서비스, 통계모니터링, 리스크관리 등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무역거래시스템 구축 이 필요해 보인다. 지난 2014년 1/4분기 이후 기초통계량 분석에서, 평균은 한국의 총 판매액 10.1%, 중국 14.2%, ASEAN 6.1%, 미국 5.2%, 일본 4.9%, EU 2.9% 상승하였다. 표준편차는 한국의 총 판매액이 18.9, 중국 24.9, ASEAN 24.5, EU 20.7, 미국 19.5, 일본 17.9 순으로 산출되어, 중국은 변동성이 상대적으로 안정되 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관관계분석결과, 한국 총 판매액에 대해 중국(0.97), EU(0.45), 미국(0.41), ASEAN(0.35), 일본(0.31) 순으로 상관계수가 높게 산출되었다. 한국 총 판매량은 중국과 매우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낸 반면 EU, 미국, ASEAN, 일본과는 일정수준의 유사한 상관관계를 보여 주었다. 회귀분석결과 종속변수인 한국의 총 판매액에 대해 Coefficient가 미국 0.02, 중국 0.67, 일본 0.06, ASEAN 0.06, EU 0.08로 나타나 중국과 절대적으로 높은 수치를 보여주었다. 지난 2014년 이후 한국의 총 판매액은 대부분 중국 판매량에 의해 영향을 받아 왔으며 중국 판매량만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산출되었다. 상승률분석에서 지난 2014년도 1/4분기(=100) 기준으로 중국은 3,000%(2019년)을 넘어서고 ASEAN은 500%(2019년)을 넘어서기도 하였으나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소비가 감소하면서 2000년도 이후 판매량이 급속히 감소하였다. 반면 미국, 일본, EU의 경우 상승률이 100~250% 사이에서 큰 등락 없이 일정수준 을 유지하고 있다. 분포도분석결과, 한국 총 판매액과 중국 판매액은 주로 -30~40% 사이에 분포되어 있으며 서로 유사한 모양을 나타내고 있다. Scatter Charts 분석에서 한국 총 판매액과 중국 판매액은 거의 일직선으로 우상향하고 있어 매우 높 은 수준의 동조화현상을 보여주고 있다. 반면 미국, 일본, ASEAN, EU는 한국 총 판매액과 상대적으로 방향성을 확인하기 어려워 동조화현상이 매우 낮게 나타났다. 충격도반응 분석에서 지난 2014년도 이후 중국 판매액이 한국 총 매출액에 미치는 충격이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나 있어 향후 한국의 총 판매액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중국 판매액 동향에 많은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최근 한국 온라인쇼핑 해외 직접 판매액 중에서 중국의 판매액 비중이 85% 이상 압도적으로 높게 나 타나 있다. 상품별 판매액 동향에서 대부분 젊은 세대가 선호하는 화장품과 의류 및 패션상품, 음반・비 디오・악기, 가전・전자・통신기기 순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또한 한류 열풍으로 인해 K-Beauty, K-Fashion, K-Pop 등이 온라인쇼핑 직접 판매에 커다란 역할을 담당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향후 한 국의 온라인쇼핑 해외 판매액이 꾸준히 증가하기 위해서는 첫째, 한류열풍이 지속적으로 증가해야 되고 둘째, 중국뿐 아니라 ASEAN, EU, 미국, 중동, 대양주, 중남미 등으로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는 노력이 동반되어야 할 것이다. 최근 코로나19로 인해 국내와 해외에서 온라인쇼핑에 대한 비중이 점점 높아가고 있어 이에 대한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대응방안을 찾아가기 위해 우리 모두 함께 노력해야 할 것이다.

목차

국문 요약
Ⅰ. 서론
Ⅱ. 각 국가(대륙)별 온라인쇼핑 선행연구
2.1 미국
2.2 중국
2.3 일본
2.4 ASEAN
2.5 EU
Ⅲ. 자료 수집 및 온라인쇼핑시장 동향
3.1 자료수집
3.2 한국의 온라인쇼핑시장 동향
Ⅳ. 실증분석
4.1 수치분석
4.2 지표 분석
4.3 모형 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References)
Abstract

저자정보

  • 최수호 Soo Ho, Choi. 동양미래대학교, 경영학부 교수
  • 최정일 Jeong Il, Choi. 성결대학교, 경영학부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