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Crisisonomy

A Suggestion for Disaster Relief Governance - Comparing NVOAD in the US and KDSN in South Korea -

원문정보

우리나라 재해구호 거버넌스의 개선방안 - 미국 NVOAD와 한국 재난안전네트워크(KDSN)의 비교를 중심으로 -

Ja Young Kim, Hee Cheon Choi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Both the Korean Disaster Safety Network (KDSN) and the National Voluntary Organizations Active in Disaster (NVOAD) in the US were established for effective civil governance on disaster relief, but produced quite different outcomes. This study aimed to overcome limitations of previous studies taking governance as given and suggest how to improve the Korea’s disaster relief governance. In an organizational perspective, a simple and parallel organizational structure of KDSN makes coordination difficult in disaster due to the different capability of each organization, and thus a systemic perspective would be needed for effective and synergistic decision-making structure. In an operational perspective, KDSN has focused on a one-time campaign outcome and was weak in information sharing and networking. In an institutional perspective, the KDSN’s official status should be strengthen to assume the role of governance and on-scene responsibility. A strategic approach is needed for effective coordination of the Korea’s disaster relief governance.

한국어

한국재난안전네트워크와 미국 NVOAD는 민간 재해구호 거버넌스를 통하여 효과적으로 재난에 대 응하고자 설립되었지만, 결과는 큰 차이가 있다. 본 연구는 재해구호 거버넌스를 주어진 것으로 간주 하는 기존의 연구한계를 극복하고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자 양국 사례를 비교하였다. 조직구조적 차원에서, 한국의 각 조직들은 역량 편차에도 불구하고 단순 병렬적인 구조로 되어 있어 재난상황 시 필요한 조정 메커니즘이 작동하기 어렵다. NVOAD의 경우, 조직들이 각자 자생력을 가지고, 층위 구조로 체계화되어 있어 효과적인 의사결정과 조정 역할의 수행의 기반이 된다. 운영체계적 차원에 서, 일회성 캠페인이나 평면적 과업에 치중하는 한국과 달리, NVOAD는 네트워크와 정보공유의 메커니즘을 제공하도록 거버넌스 차원의 조정 역량 강화에 주안점을 둔다. 제도적 차원에서, 한국은 실질적 역할을 하기 위한 공식적 참여자로서의 제도적 지위 보장이 부족하였다. 향후, 재해구호 거버 넌스가 실제 재난에서 민간의 역량들을 효과적으로 조정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전략적 접근 이 필요하다.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재해구호 거버넌스의 이론적 고찰 및 분석틀
1. 한국재난안전네트워크 선행 연구 고찰
2. 재난 거버넌스 연구 고찰
3. 한국재난안전네트워크 및 NVOAD의 개요
4. 분석의 틀
Ⅲ. 양 기구의 조직 구조 비교
1. 한국재난안전네트워크의 조직구조
2. NVOAD의 조직구조
3. 조직구조적 측면에서 민간 재해구호 거버넌스를 위한 시사점
Ⅳ. 양 기구의 운영 체계 및 방식 비교
1. 한국재난안전네트워크의 운영 체계 및 방식
2. NVOAD의 운영 체계 및 방식
3. 운영체계의 개선 측면에서 본 재해구호 거버넌스의 시사점
Ⅴ. 양 기구 위상 및 제도적 지원 비교
1. 한국재난안전네트워크에 대한 제도적 지원체계
2. NVOAD에 대한 지원체계: 위상 및 법적⋅제도적지원
3. 지원체계 측면에서 본 재해구호 거버넌스의 시사점
Ⅵ. 결론: 연구의 요약 및 한계
References
국문초록

저자정보

  • Ja Young Kim Department of Disaster Science, Graduate School, University of Seoul
  • Hee Cheon Choi Special Investigation Commission on Social Disasters, 70, Sogong-ro, Jung-gu, Seoul, Korea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