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삼척 안정사 땅설법의 구비경전과 무형유산적 가치

원문정보

Contents of the Ttangseolbeop of Anjeongsa Temple in Samcheok and Value as an Intangible Heritage

김형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We all agree that the Buddhist Gangchang(講唱) and Sokgang(俗講) existed in Korea. However, it is embarrassing that there is no real basis. In the midst of this, ‘Ttangseolbeop’ was known in a small temple called Anjeongsa Temple in Samcheok, Gangwon Province in 2018. It is attracting attention whether this is really the traditional Korean Buddhist Gangchang or Sokgang that academia was curious about. Since then, the actual performance has been revealed to researchers through several performances, but the entire pattern is not recognized in the repertoire that changes each time. In this regard, this paper summarized the overall repertoire of the enormous land theory practice, as if drawing the extent of the excavated site to unearth relics. Since repertoire is a performance term, this paper proposed the term “Oral scripture(口碑經典)”. There are about 10 kinds of the oral scriptures handed down in Anjeongsa. These oral scriptures are divided into five main halls and five or more separate halls according to their importance. These oral scriptures are selectively performed according to the nature of the performance rite and the level of the attending public. Until now, academic and Buddhist circles have been curious about the reality of Korea's Gangchang culture and Sokgang. However, there was no real case for it, so I guessed it from the case of China. And I saw Korean pansori as a later aspect of it. As such, it is expected that the earthling method will become an important research subject that can fill this void. It is important that these precious cultural heritages have been maintained until now. However, the transmission environment is so difficult that it is difficult to expect that the transmission will continue. Therefore, efforts should be made to ensure that this cultural heritage is sustainable in various ways, and one of such alternatives may be a method such as the designation of cultural properties. Therefore, in this paper, I reviewed the value of the Ttangseolbeop as a cultural property.

한국어

한국에 불교강창, 속강이 존재했음은 모두가 공감하는 바이다. 그러나 공감은 가나 그에 대한 실체적 근거가 존재하지 않음이 당혹스럽다. 이런 가운데 2018년 강원도 삼척 안정사라는 작은 절에서 ‘땅설법’이 알려졌다. 이것이 정말 학계가 궁금해하던 한국의 전통 불교강창, 속강인지 관심을 모으고 있다. 그 이후 몇 번의 연행을 통해 그 실제 연행의 모습이 연구 자들에게 밝혀지고 있지만, 매번 달라지는 레퍼토리에 그 전체 양상을 꿰 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고는 비유하자면 유물 출토하고자 그 출토지 범위 를 그리듯, 방대한 땅설법 연행의 레퍼토리 전반을 요약적으로 정리하였 다. 레퍼토리는 공연 용어이므로 본고에서는 ‘구비경전’이라는 용어를 제안 하였다. 안정사에서 전승되고 있는 땅설법 구비경전은 10여 종으로 정리된 다. 이 구비경전은 그 중요도에 따라 5종의 본전(本典)과 5종 이상의 별전 으로 나뉜다. 본전에는 <석가모니일대기(釋迦牟尼一代記)>, <선재동자구법 기(善財童子求法記>, <목련존자일대기(目連尊者一代記)>, <성주신일대기(成 造神一代記)>, <신중신일대기(身衆神一代記)>가 있다. 별전으로는 <만석중 득도기(曼碩衆得道記)>, <안락국태자경(安樂國太子經)>, <태자수대나경(太子 須大拏經)>, <심청효행록(沈淸孝行錄)>, <삼한세존일대기(三韓世尊一代記)>, <위제희부인만원연기(韋提希夫人滿願緣起)> 등이 있다. 이들 구비경전은 연 행 의례의 성격, 참석 대중의 수준에 따라 선택적으로 연행된다. 그간 학계와 불교계에서는 한국의 강창문화, 속강의 실체에 대하여 궁 금해했다. 그러나 그에 대한 실제 사례가 없어 중국 등의 사례를 빌어 짐 작하였다. 그리고 한국의 판소리를 그것의 후대적 양상으로 보았다. 그런 만큼 땅설법은 이런 공백을 메울 수 있는 중요한 연구대상이 되리라 예상 된다.

목차

한글요약
Ⅰ. 들어가며
Ⅱ. 땅설법 구비경전(口碑經典)의 종류
Ⅲ. 땅설법 본전(本典)의 내용
Ⅳ. 땅설법 별전(別典)의 내용
Ⅴ. 땅설법의 무형유산적 가치와 과제
Ⅵ. 나오며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형근 Kim, Hyung-kun. 동아대학교 기초교양대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