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지방계약의 현황 및 발전방안(상) - 지방계약과 관련된 감사결과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Current Status and Development Strategies in Contract by local government

홍종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t is important nowadays to ensure the regularity, legality, effectiveness and economy of the contract with local government with the structural vulnerability of local finance and its soundness etc. The official task of modern state has expanded with full breadth and with the trends of decentralization of powers, more 200 local governments do their own and delegated tasks by the way of public procurement agreement. As a result, the legal issues of procedural and substantial law concerning the contract with the local government are continuously raised up. In this thesis, I tried to analyze and review the audit-findings of Board of Audit and Inspection (of South Korea) to help to solve these problems. I categorize the audit cases according to the importance of cases into 4 areas, (1) the decision of the way in which forms of contract to conclude, (2) the procedure of bidding and how to decide the successful bidder, (3) the legal problem in carrying out the agreement and its correction and adjustment to a successful performance, (4) and the other management and institution of contract with local government. 8) Through this study, I can identify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prepare manual to help to inform the officials dealing with the contracts how to perform the business according to the statutes, regulation etc. as a feed-back system for its continuous update and education. Second, the appropriate and clear authorities and competence need to be assigned and the definite responsibilities should be levied to the officials concerning with the contract, budget and accounting. Third, the professional service center for the public procurement needs to be established to support the regularity and legality of the contracts by the local government and the fair competition of each bidder should be ensured with their mutual checks and balances sustained. Fourth, the internal control within the government and the external control by a local assembly and auditors etc. should be arranged an adjusted rationally not to be doubled and redundant, so that the control system should also be effective and efficient to make the local contract regular and economical. Fifth, conside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aw of contract and the public finance, the legal issues and problems might be checked and confirmed at the phase of auditing and settlement of accounts, however it is more favorable to prevent at the starting level of setting up the scheme of signing the contract. So, it is possible and necessary to estblish the authentic mechanism to check and review the regularity, legality, effectiveness, efficiency and economy etc. of the contracts within the local governments.

한국어

오늘날 지방재정의 구조적 문제와 아울러 재정건전성이 취약한 문제로 대두되면서 지 방자치단체가 당사자가 되는 계약의 합법성, 합규성 뿐만 아니라 효율성, 경제성, 절약성 등의 원리를 실현하기 위하여 제도적 노력이 이뤄지고 있다. 그러나 200여개가 넘는 지 방자치단체들이 공적 과제를 수행하기 위하여 공공조달, 민간위탁, 사무대행 등 다양한 법적 형식을 활용하고 있는데, 그 중에서도 지방계약을 둘러싼 절차법적·실체법적 문제 가 지속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본 논문은 주로 감사원의 감사결과 에서 확인된 지방계약법제의 문제사례와 그에 대한 감사결과의 처리내용 등을 ‘계약방법 의 결정’, ‘입찰절차 및 낙찰자 결정’, ‘계약체결 및 이행과정’ 그리고 기타 지방계약제도 의 운영 등과 관련된 쟁점으로 나누어 유형별로 검토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지방계약을 규율하는 법령 및 규칙 등의 해석·적용에 관한 현실적·구체적인 문제사례를 해설하여 교육하는 매뉴얼을 만들어 배포하고 이를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하는 피드백 시스템이 존재할 필요가 있다. 둘째, 전국 각지의 지방자치단체의 회계담당공무원, 계약업무를 처리하는 공무원 등에게 적절한 권한과 책임의 메카니즘을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고 필요하다. 셋째, 공공조달계 약의 체결과정에서 전반적인 자문을 제공할 수 있는 “조달전문기관”을 설립하는 것도 중 요하지만 입찰참가자들상호간의 공정한 경쟁기회를 보장하고, 이들의 견제와 균형을 활 성화하여 계약체결의 투명성을 제고하는 것이 필요하다. 넷째, 행정의 내부통제, 지방의 회에 의한 통제, 감사원의 외부적·독립적 통제 등이 중복부담이 되지 않고 효과적인 통제 로 이어질 수 있는 조정시스템을 만들고 평가 및 감사결과를 활용하여 지방계약법령 등 에 위반되는 문제가 재발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다섯째, 계약법제는 재정법과의 관련 성 하에서 세출예산내역의 결산검사, 회계확인 과정에서 사후적으로 적발하는 것보다 계 약과 관련된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도록 예방하는 것이 보다 더 중요하므로 계약방법을 결정하고 계약체결 시행공문을 품의하는 단계에서부터 각 지자체 내부에서 합규성, 적법 성 및 적정성을 정밀하게 확인하고 점검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마련하는 것이 가능하고 필 요할 것이다.

목차

<요약>
Ⅰ. 들어가며
Ⅱ. ‘계약방법의 결정’을 둘러싼 문제사례
1. 일반론
2. 소액으로 분할하거나 수의계약 대상을 확대하여 적용: 정보시스템 구매 수의계약 부적정(대구광역시 수성구, 2017. 4. 11)
3. 수의계약사유에 대한 해석·적용상의 혼란
4. 지방계약법이 아닌 다른 법령에 따라서 수의계약을 추진하는 경우
5. 다수공급자계약 2단계 경쟁제도를 회피하기 위한 부적정한 업무처리
Ⅲ. ‘입찰절차 및 낙찰자 결정’에 관련된 문제사례
1. 재공고입찰이 유찰되어 수의계약을 체결하는 경우의 제한조건 회피: 재활용선별장 민간위탁 용역계약 업무처리 부적정(안양시, 2017. 2. 23)
2. 공사계약 적격심사 부적정(대구광역시 수성구, 2017. 4. 11)
3. 부정당업자와 소액 수의계약 체결 부적정(울산광역시 남구, 2017. 4. 11)
4. 중소기업을 지원하기 위한 조달계약상의 인센티브 관련
5. 입찰참가자격 확인의무 불이행 (충청남도, 2016. 3. 29)
참고문헌

저자정보

  • 홍종현 Jong-Hyun, Hong. 감사원 감사연구원 사무관, 고려대학교 법학박사(헌법, 재정법).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