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extbook unit system related to ‘reading one volume’ and to explore the constituent factors of class activities in order to efficiently develop the ‘reading one semester’ class in middle schools according to the 2015 curriculum. ‘Reading One Book’ is the aim of overcoming some limitations of textbook texts in reading education so far, and emphasizes an integrated reading activity that reads an entire long text in various ways to shares and expresses thoughts during a semester. As these reading activities began to enter the Korean language classes, it became a challenge in the educational field to plan and prepare effective one-book reading classes for students. In this paper, targeting middle school Korean textbooks according to the 2015 curriculum, for the unit of the textbook related to ‘reading one volume’, the achievement standards and learning goals, which are the basic structure of the unit, the level of reflection of the textbook of reading one volume and learning activities, and the list of reading restrictions and the method of selecting books were analyzed. In addition, the instructor, learner, and textbooks, which are the elements of the class for the one-book reading class, were reviewed, and the class activities that these factors seemed to be related to were specifically examined in relation to the one-book reading activity. It is hoped that this research will serve as the basic content material required for the ‘reading one semester’ class in the educational field.
한국어
이 연구는 2015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의 ‘한 학기 한 권 읽기’ 수업을 효율적으로 전개하 기 위하여 ‘한 권 읽기’와 관련된 교과서 단원 체제를 분석하고 수업 활동의 구성 요인을 탐색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 학기 한 권 읽기’는 그간의 읽기 교육에서 교과서 텍스트가 가진 일부 한계를 극복하고 자 하는 지향점으로서 한 학기 동안 한 편의 텍스트 전체를 다양한 방법으로 읽고 생각을 나 누며 표현하는 통합적 독서 활동을 강조한다. 이러한 읽기 활동이 국어 수업에 본격적으로 들 어옴에 따라 교육 현장에서는 학생들의 효과적인 한 권 읽기 수업을 계획하고 준비하는 것이 당면 과제가 되었다. 이를 위하여 본고에서는 2015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국어 교과서를 중심으로 ‘한 학기 한 권 읽기’ 관련 단원의 기본 구성 체제인 관련 영역, 성취기준 및 학습 목표, 한 권 읽기의 교과서 반영 수준 및 학습 활동 전개 양상, 읽기 제재 목록과 도서 선정 방식 등을 비교․분석 하였고, 한 권 읽기 활동을 위한 수업 구성 요인으로서의 교수자, 학습자, 교재를 검토하였다. 그리고 이 구성 요인들이 관계적으로 보이는 수업 활동 양상을, ‘과정 중심의 활동․기능과 영역의 통합 활동․모둠 독서 활동’에 초점을 두면서 한 권 읽기 활동과 관련하여 살펴봄으로 써 교육 현장에서의 ‘한 학기 한 권 읽기’ 수업에 요구되는 기반 내용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목차
1. 들어가는 말
2. 한 권 읽기 교과서 단원 분석
3. 한 권 읽기 활동의 수업 구성 요인 점검
4. 맺는 말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