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기획 주제-한중 문화의 수용과 검토

한국 서정시 <진달래꽃>의 중국어 번역 방법연구-시어의 이미지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A Study on the Chinese Translation of the Poetry Image of Kim So-wol's “Azalea Flower”

송징양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Since Korea and China established their diplomatic relationship in 1992, they have increasingly intensified their communications in various areas, including cultural communications. Many literal works have been translated into the language of the other one. Translation of poetry has been a challenge due to its suggestive and implicit poetic languages. Kim So-wol's “Azalea Flower” is a representative work of modern Korean poetry deeply appreciated by Koreans, which has been widely translated and published in China. This paper aims to looking for a suitable translation method for the implications and implications of poetic languages by analyzing the translations of “Azalea Flower” into Chinese. On this regard, this paper analyses the reproduction of the images of the original work in each translation based on the original text of “Azalea Flower” and seven Chinese translations by taking reference to the interpretation of “Azalea Flower”. Therefore, chapter one briefly introduces the development of translation aesthetics and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Chapter two reviews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previous studies. Chapter three introduces the scope and methodology for this research, and compares the original and target texts to explore the methodologies used to reproduce the original image in each translation.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the author discovers that the translators reproduce the images described by the original poet on the basis of thorough comprehension of the poem, and subsequently restate the images of the original work and the emotion of the poet with translators' full imagination by using “domestication” and “foreignization” to take place of “omission”, “amplification” and so on.

한국어

1992년 한중 수교 이후 문화를 비롯한 다양한 분야에서 한중 교류가 심화되고 있으며, 문학 작품의 번역과 출판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 중에서 시는 암시적이고 함축적인 시적 언어로 인해 번역 분야에서의 난제가 되어왔다. 이에 본고는 중국에서도 수차례 번역 및 출판되며 많은 사랑을 받은 한국의 대표 시 김소월의 <진달래꽃>을 연구 대상으로 하여 시어의 함축성과 암시성에 대한 번역방법을 찾는 데에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해당 작품의 해석본을 참고하여 <진달래꽃>의 원문과 7개의 중국어 번역문을 비교텍스트로 삼았으며 번역미학이론을 바탕으로 각 번역본에서 원작의 이미지를 재현하는 방법을 분석해 보고자 한다. 1장에서는 번역미학의 발전과정과 본고의 연구목적을 간단히 소개하고 2장에서는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를 검토한다. 3장에서는 연구 범위와 연구 방법을 소개하고 원문 해석을 바탕으로 번역본 비교를 통해 번역본 별 원작 이미지 재현 방식을 비교 분석한다. 분석 결과, <진달래꽃>의 중국어 번역본들은 원작의 이미지와 작중화자의 정서를 구현하기 위해 ‘자국화’와 ‘이국화’의 번역 전략이 사용되었으며, ‘의역’, ‘모작’ 등의 번역 방법이 사용되었는데, 이에는 ‘대체’, ‘첨가’, ‘삭제’ 등의 번역 수단이 사용된 것을 알 수 있다.

목차

국문요약
1. 서론
2. 이론적 배경
1) 번역미학(翻译美学)과 번역 심미객체(翻译审美客体)
2) 비형식적 체계-이미지
3. <진달래꽃> 중국어 번역본에 나타난 이미지 재현
1) 연구 범위 및 연구 방법
2) 번역본 분석
4.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송징양 Song, Jingyang.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외국어로서의한국어번역전공 박사과정 수료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