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기획 주제-한중 문화의 수용과 검토

한중 수교 이후 중국 조선족문학 연구 성과의 비판적 검토와 전망

원문정보

The Critical Review and Prospect of Chinese-Korean Literature after the Korea-China diplomatic relations

박윤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e flow of modern literature developed in conjunction with the change of modern history leading to the invasion of East Asia and the provocation of militarism war by Japanese imperialism, the reality of Korean-Chinese literature is not only diaspora existence as migrant literature, but also internalization of dual identity which is given the reality of life as a minority in the process of the construction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It is worth noting that one thing is done. The study on Korean-Chinese literature accumulated since the establishment of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Korea and China has great significance in that it expanded the scope of research on Korean modern literature history, secondly, it established the perspective of postcolonialism as a methodology and tried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existing historical literature history, and thirdly, it urged the re-perception of the inclusion of 'ethnic' literature through diaspora literature theory. Nevertheless, there are some problems in terms of the lack of methodology of text-oriented review and the recognition of the object's uniqueness, the limited scope of research focused on novel research and writer's theory, and the research bias in term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between Korea and China and Korean culture education according to the real situation of activating cultural exchanges between Korea and China., Therefore,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on Korean-Chinese literature should be more general and complex, and the stylistic approach to the phenomenon of literary history and aesthetic materialization should be aimed at at the same time, the humanistic address of historical spatiality and the establishment of integrated literary history should be aimed. In this sense, the study of Korean-Chinese literature in China can ultimately serve as an important spiritual basis and opportunity to insight into how the spatial menstruation and transformation of East Asia form and categorize the ethnic literary characteristics of Korean modern literature.

한국어

일제의 동아시아 침탈과 군국주의 전쟁의 도발로 이어지는 근대사의 변동과 맞물려 전개된 현대문학사의 흐름에서 특히 조선족문학의 실체성은 이주문학으로서의 디아스포라적인 존재성뿐만 아니라, 중화인민공화국 건설기를 거치는 과정에서 소수민족으로서의 삶의 현실성을 부여받는 이중정체성의 내면화를 담지한다는 점에서 창작 주체의 물리적(역사적․지리적) 실존성이 현실인식의 주도적 계기로 작용한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한중 수교이후 지금까지 축적된 조선족문학에 대한 연구는 첫째, 한국현대문학사 연구의 범위를 확장시킨 점, 둘째, 탈식민주의론의 시각을 방법론으로 정립하여 기존의 역사주의적 문학사 인식의 한계를 넘어서고자 한 점, 셋째, 디아스포라문학론을 통해 ‘민족’문학의 내포에 대한 재인식을 촉구한 점에서 큰 의의를 지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텍스트 위주의 검토와 대상의 고유성 인식의 방법론적 결여, 소설 연구와 작가론에 집중된 연구 범위의 한정성, 한중 문화교류의 활성화라는 현실상황에 따른 한중간 한국어교육 및 한국문화교육의 관점에서의 연구 편향성과 같은 측면에서 문제의 소재를 가지고 있기도 하다. 따라서 향후 조선족문학 연구의 방향은 보다 총체적이고 복합적인 시각에서 문학사적 현상에 대한 양식론적 접근과 미학적 실체화를 지향해야 하며, 동시에 역사적 공간성에 대한 인문학적 주소화와 통합문학사의 구축을 목표로 할 필요가 있다. 이런 의미에서 중국내 조선족문학의 연구는 궁극적으로는 동아시아의 공간적 월경과 변혁의 문제가 한국현대문학사의 민족문학적 특징을 어떻게 형성시키고 범주화시키는가를 통찰할 수 있는 중요한 정신적 기반이자 계기로 작용할 수 있다.

목차

국문요약
1. 서론
2. 조선족문학 연구의 역사와 성과
1) 한국 현대문학사 연구의 범위 확장
2) 탈식민주의론의 시각과 역사주의 넘어서기
3) 디아스포라문학론과 ‘민족’문학의 재인식
3. 조선족문학 연구의 전망과 과제
1) 문학사적 현상에 대한 양식론적 접근과 미학적 실체화
2) 역사적 공간성에 대한 인문학적 주소화와 통합문학사의 구축
4. 결론
[자료] 역대 <한중인문학연구> 수록 조선족문학 연구 관련논문 목록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박윤우 Park, Yoonwoo. 서경대학교 인문대학 문화콘텐츠학부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